반응형
한글 2022의 한글 세로쓰기
한글 세로쓰기에서 영문이나 숫자를 어떻게 표현하느냐에 따라 두 가지로 나뉩니다. 세로쓰기(영문 눕힘)는 아래와 같이 한글 진행 방향과 달리 가로식 표현을 합니다. 반면에 세로쓰기(영문 세움)는 숫자마저 세워서 보여줍니다.
문서 일부만 세로쓰기
문서의 일부만 세로쓰기로 전환할 수도 있습니다. 세로쓰기로 전환할 부분을 범위로 지정하여 선택한 뒤 '쪽 > 글자 방향 > 글자 방향 설정'으로 진행합니다. 여기서 주의할 것은 '글자 방향 설정'까지 진행해서 세로쓰기를 선택합니다. 같은 페이지의 다른 내용과 페이지가 분리되면서 '세로쓰기'가 적용됩니다.
머리말/꼬리말에 세로쓰기
세로쓰기에서 한 가지 주의할 일은 머리말과 꼬리말도 '세로쓰기'로 표현되려면 '글자 방향 설정'에서 다음과 같이
정리
한글 2022에서는 기본 가로쓰기 외에 세로쓰기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게 됐습니다. 단지 부분 적용하는 경우는 제한이 따릅니다. 페이지가 강제로 나뉘면서 페이지 단위로 적용됩니다. 또한 머리말/꼬리말의 세로쓰기 옵션을 설정하지 않으면 본문이 세로쓰기 적용이 됐더라도 머리말과 꼬리말은 가로쓰기로 나온다는 점을 고려합니다.
반응형
'컴퓨터 활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컴오피스] 한글 문서에 그림 삽입 요령 (215) | 2024.01.20 |
---|---|
[한컴오피스] 한글에서 구역 나누기 (138) | 2024.01.19 |
[전자책] 스타일 시트의 우선 순위 (140) | 2024.01.11 |
마크다운 언어 교수학습과정안(2시간) (118) | 2024.01.10 |
[GitHub] 원격 저장소 연결, 복제(clone) (114) | 2024.01.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