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바드에게서 받은 네이버 나눔 폰트 정보를 오픈AI의 챗GPT에서 팩트체크를 했습니다. 팩트체크할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팩트체크에 사용한 방법
위 내용을 텍스트로 복사했습니다. 복사된 내용을 챗GPT에게 붙여 넣어 물었습니다. '팩트체크'를 해달라고.
결과는 비교적 긍정적인 무난한 답변이었습니다. 물론 구체적인 정보 부족을 들어 빠져나갈 구멍은 만들었네요.
보고서: Nanum SquareNeo 글꼴 변형 접미사의 팩트 체크
1. 일반 개요
Nanum SquareNeo 글꼴은 다양한 변형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변형은 각각 'alt', 'bRg', 'cBd', 'dEb', 'eHv' 등의 접미사로 구분됩니다. 이러한 접미사들이 의미하는 바와 사용 시나리오에 대한 팩트 체크를 진행합니다.
2. 접미사별 설명 및 팩트 체크
2.1 'alt'
- 주장: "alternate"의 약자로, 기본 글꼴과 다른 특징을 가진 변형을 나타낸다.
- 팩트 체크 결과: 일반적으로 'alt'는 "alternate"를 의미하는 경우가 많으나, Nanum SquareNeo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없어 정확한 팩트 체크가 어렵습니다.
2.2 'bRg'
- 주장: "bold Regular"의 약자로, 기본 글꼴과 같은 스타일의 굵은 글꼴을 나타낸다.
- 팩트 체크 결과: 일반적으로 'bRg'가 "bold Regular"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없어 정확한 팩트 체크가 어렵습니다.
2.3 'cBd'
- 주장: "condensed Bold"의 약자로, 기본 글꼴보다 좁은 모양의 굵은 글꼴을 나타낸다.
- 팩트 체크 결과: 'condensed Bold'는 좁고 굵은 글꼴을 의미하는 일반적인 표현입니다. 하지만 Nanum SquareNeo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없어 정확한 팩트 체크가 어렵습니다.
2.4 'dEb'
- 주장: "demibold"의 약자로, 기본 글꼴보다 약간 굵은 글꼴을 나타낸다.
- 팩트 체크 결과: 'demibold'는 일반적으로 기본 글꼴보다 약간 굵은 글꼴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Nanum SquareNeo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없어 정확한 팩트 체크가 어렵습니다.
2.5 'eHv'
- 주장: "extra heavy"의 약자로, 매우 굵은 글꼴을 나타낸다.
- 팩트 체크 결과: 'extra heavy'는 일반적으로 매우 굵은 글꼴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Nanum SquareNeo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없어 정확한 팩트 체크가 어렵습니다.
3. 사용 시나리오
- 주장: 각 변형은 다양한 용도에 맞게 사용될 수 있다.
- 팩트 체크 결과: 이러한 주장은 일반적인 글꼴 디자인의 원칙에 부합하며, 다양한 변형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4. 결론
주어진 정보에 따르면, 각 접미사가 의미하는 바는 일반적인 글꼴 디자인에서 자주 볼 수 있는 표현과 일치합니다. 그러나 Nanum SquareNeo 글꼴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없어, 각 접미사가 정확하게 어떤 특징을 가지는지에 대한 팩트 체크는 제한적입니다.
5. 추천
Nanum SquareNeo 글꼴의 공식 문서나 설명을 참고하여 더욱 정확한 팩트 체크를 진행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정리
인공지능의 답변에는 무리하게 작문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팩트체크가 필요합니다. 두 인공지능을 통해 팩트를 체크했더니 비교적 무난한 답을 얻었습니다.
'컴퓨터 활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Sigil] 스타일시트 기초와 활용 (60) | 2023.10.13 |
---|---|
삼성 갤러리 PC 버전 (74) | 2023.10.12 |
[Sigil] 전자책 만들기 연습 (4) | 2023.10.08 |
[전자책] 뷰어, 전자책을 읽는 도구 (7) | 2023.10.07 |
[EPUB3] EPUB3는 EPUB2의 확장된 버전 (9) | 2023.10.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