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박장로님을 위한 부동산 프로그램

정부24를 통한 건축물대장 열람

by easyfly 2021. 10. 5.
반응형

정부24를 통한 건축물대장 열람

건축물대장을 출력하고 싶다하셨죠. 정부24를 이용하신다는 것은 알았는데 막상 시도하려니 막힌다고 하셨네요. 컴퓨터에 익숙하지 않다보니 문제가 발생해서 그렇지 어렵지 않습니다. 우선 정부24를 연결합니다. 데스크톱이나 노트북에서 브라우저(크롬이나 엣지)를 열고 주소를 적어 넣습니다. [gov.kr]이라고 직접 적어 넣으셔도 되고 [정부24]라고 적어 넣으셔도 됩니다. [정부24]를 검색하여 연결하면 [https://www.gov.kr/portal/main]으로 연결됩니다. 사실 이 주소의 핵심은 [gov.kr]이거든요. [gov]는 [government]이고 [kr]은 [korea]의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약자입니다. 정부의 도메인 주소를 [gov.kr]로 정해서 사용하는 것입니다. 앞에 붙은 [www]는 웹용 서비스라는 이야기입니다. 인터넷 서비스가 웹서비스만 있는 것은 아니거든요.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메일서비스도 있고, 지도 서비스도 있지 않습니까? 여러가지 서비스 중 정부에서 웹브라우저를 통한 서비스를 하는 주소라는 의미입니다.

정부24 초기 화면

건축물대장 열람

초기 화면에서는 여러가지 민원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것을 알려주고 있습니다. 장로님이 오늘 발급 받으시려는 문서는 건축물대장입니다. 위 두번째 [건축물대장]을 선택했습니다. 민원안내 및 신청 페이지가 나오고 신청을 받는군요.

건축물대장 신청 창

발급과 열람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발급은 공식적인 민원문서를 발급하는 것이기에 제출 등의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지만, 열람은 단지 내용만 확인하기 때문에 열람용이라는 워터마크가 생깁니다. 그러나 인쇄하여 볼 수 있기 때문에 정보를 확인하는 차원에서는 발급받지 않고 열람만 하셔도 됩니다. 신청했더니 [회원 신청]과 [비회원 신청]을 선택하는 옵션창이 나오군요.

신청 방법 선택

장로님은 이미 회원 가입이 되어 있어서 [회원 신청하기]를 선택하셨습니다. 선택 결과는 회원 인증 과정이었습니다.

간편인증과 공동.금융인증 선택

간편인증과 공동.금융 인증서 차이

간편인증

간편인증은 공동.금융 인증서의 불편함을 덜기 위한 방법입니다. 위에 아이콘으로 표시된 어플을 통해 간편하게 인증을 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카카오톡으로 간편인증을 한다 가정합시다. 카카오톡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자신의 개인의 정보가 카카오에 등록되어 있으니 카카오지갑을 이용해서 자신을 인증시킬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코로나 이후 기관에 출입할 때 사용하는 코드인증과 비슷한 개념입니다. 큐알코드에는 개인의 정보가 기록되어 있거든요. [간편인증]을 선택하면 어떤 어플로 인증할 것인가를 물어옵니다.

간편인증 어플 선택창
카카오톡을 선택하여 진행하는 경우

물론 어느 어플을 사용해도 상관 없습니다. 자신이 사용하기 편한 것을 사용하면 됩니다. 삼성패스나 통신사의 인증서의 PASS는 인증을 통과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다른 경우에도 이런 패스 인증을 요구하는 사례가 더러 있습니다. 인증 요청을 했더니 카카오톡이 울리네요.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스마트폰으로 요청이 들어온 인증

카카오톡 지갑을 확인하면 [인증하기]가 나옵니다. [인증하기]를 선택하면 어플의 종류에 따라 약간씩 다르지만 최종적으로 간편인증을 위한 여섯자리 숫자를 물어옵니다. 간편결제비번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여 확인하면 끝납니다.

인증진행 순서 안내

공동.금융 인증서 인증

이 방법은 자신이 이용하는 은행등의 인증서를 통해서 인증을 하는 전통적인 방법입니다. 우선 인증서가 있는 위치를 알아야하고 그 인증서에서 사용되는 비번을 이용하여 인증을 합니다.

인증서 위치를 확인하는 팝업창

건축물대장 열람

건축물 소재지 등 정보 입력
수령방법과 민원신청하기 선택

 

위의 내용을 입력하고 최종적으로 [민원신청하기]를 선택하면 목록에 올라옵니다. 여기서 열람을 하면 됩니다. 물론 프린터로 출력하여 인쇄물로 보관할 수도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