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웹브라우저
웹프라우저 변화 양상을 보면, 구글 트렌드 분석의 신뢰도에 대한 감을 느낄 수 있다.
브라우저 시장을 주도했던 마이크로소프트의 익스플로러는 지는 해가 됐다. 우리의 경우 관공서나 기업에서 지금도 사용을 고집하는 경우가 있어, 세계 추세에 비하면 좀 유지되는 편이다.
대세 브라우저는 구글 크롬임을 확실하게 보여준다. 트래픽 기준으로 조사된 'Statcountet' 조사 결과도 2022년 1월 현재 63.02%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cEOQ54/btrtYVRCsAH/gLyeH6vVL4KTQ5G37giIT0/img.jpg)
크롬을 제외한 트렌드 분석
단연 우세 브라우저인 '크롬'을 제외한 넷만 따로 트렌드 검색을 시도했다. 인터넷 익스플로러와 엣지가 다소 앞서고 네이버 웨일과 파이어폭스가 그 뒤를 따르고 있음을 보여준다.
![](https://blog.kakaocdn.net/dn/bkpQ1P/btrt7tTayvo/lVWdkSb1PcRxN2ikZRaDu0/img.jpg)
Statcounter의 브라우저 점유율 조사
트래픽 기준으로 조사된 'Statcounter' 결과와도 비슷한 추세가 보인다.
![](https://blog.kakaocdn.net/dn/bum1BH/btrtYUebqB9/MvMkgEGueLb1U0UGzTrlPk/img.jpg)
반응형
'컴퓨터 활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 PC에 화면 표시 (1) | 2022.04.16 |
---|---|
Linux에서 구글 드라이브 연결 (0) | 2022.03.01 |
구글 트렌드로 읽는 대한민국 20대 대통령 선거 (2) | 2022.02.22 |
Windows 10 복구 드라이브 만들기 (0) | 2022.02.18 |
보조저장장치를 마음대로 주무르는 Diskpart (0) | 2022.02.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