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Linux에서 구글 드라이브 연결
Windows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Linux 시스템에서도 '구글 드라이브 데스크탑 연결'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google-drive-ocamlfuse' 실행 파일이 필요합니다.
그 과정을 소개합니다.
ppa:alessandro-strada/ppa 설치
$ sudo add-apt-repository ppa:alessandro-strada/ppa
update
$ sudo apt update
install google-drive-ocamlfuse
$ sudo apt install google-drive-ocamlfuse
구글 드라이브 연결
연결하기 위해서 먼저 연결할 폴더를 만듭니다. 자신의 방에 'mkdir GoogleDrive'를 만듭니다. 만들어진 폴더에 '구글 드라이브'를 연결합니다. 연결 명령어는 'google-drive-ocamlfuse'.
자신의 폴더 확인
탐색기로 자신의 폴더를 확인합니다. 찾아진 'GoogleDrive'를 선택하면 클라우드인 '구글 드라이브'가 연결되어 탐색창에 보입니다.
구글 드라이브 확인
'구글 드라이브'에서 자신의 폴더를 찾았습니다. 저는 '티스토리' 작업 중에 보관한 사진을 사용하기 위해 '_Tistory' 폴더를 엽니다.
작업 폴더 확인
작업 폴더를 확인한 화면입니다. 'GoogleDrive/_Tistory'입니다.
마운트한 구글 드라이브를 언마운트할 때는 'umount ~/GooleDrive'입니다.
그럼 이만
반응형
'컴퓨터 활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지털배움터 교육계획 관리 (0) | 2022.04.26 |
---|---|
이 PC에 화면 표시 (1) | 2022.04.16 |
구글 트렌드로 비교한 웹브라우저 (0) | 2022.02.23 |
구글 트렌드로 읽는 대한민국 20대 대통령 선거 (2) | 2022.02.22 |
Windows 10 복구 드라이브 만들기 (0) | 2022.02.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