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ZOOM 기록 방법
줌을 기록하는 방식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로컬에 저장하는 방식이고, 또 하나는 서버에 저장하는 방식입니다.
- 로컬 저장: 이 컴퓨터에 기록(단축키: Alt+R)
- 서버 저장: 클라우드에 기록(단축키: Alt+C)
![](https://blog.kakaocdn.net/dn/cX5OJU/btrBsZdCfOu/oNgZSVrlik2G0T8p2KWkl0/img.png)
클라우드 저장 방식
제가 권장하는 방식은 클라우드 저장 방식입니다. 문제는 저장 용량의 한계가 '1G'라는 점입니다. 제가 어제 줌 학습을 하고 그 내용을 저장했더니 다음과 같은 연락이 메일로 왔습니다. '귀하 클라우드 기록 저장소의 97%를 사용했다'는 전갈입니다. 허용된 저장 공간 1기가바이트 중에서 999메가바이트를 사용했다는 연락입니다. 1기가는 1,024바이트거든요.' 999÷1024는 97.5' 어제 3시간 원격 수업 내용을 클라우드에 저장했던 것이 용량을 많이 차지했네요.
![](https://blog.kakaocdn.net/dn/9lRBS/btrBtCChuv6/vsHv3Mso4EUBh3E748Usc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cy5om6/btrBs0i6j38/JROD5SZnDZk9FuUzScRIB1/img.png)
기록 파일 관리
기록 파일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줌'홈페이지(zoom.us)에 로그인합니다. 로그인 후 개인 정보를 보면 '기록' 메뉴가 있습니다. 이 메뉴를 선택하면, 기록 파일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pzZJf/btrBtCbaUCE/SScMVhmNkKxekZXPwuEk3k/img.png)
기록된 파일은 두 유형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클라우드 기록'과 '로컬 기록'이 있습니다. 서버에 보관된 '클라우드 기록'으로 들어가서 파일을 관리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cjDvt/btrBsZ5xU4v/6PU0UfStPa8tdTbE2jk3kk/img.png)
기록 파일 다운로드
우선 파일을 다운로드합니다. 받은 파일은 다른 서버에 보관을 하던지 또는 자신의 로컬에 보관하면 됩니다. 클라우드를 차지하고 있는 파일을 삭제하면 공간이 다시 여유로워집니다. 그래봤자 1기가지만.
![](https://blog.kakaocdn.net/dn/Dgs1v/btrBrKVA4xF/TBnJGcR9hIed2wnJRGDiIk/img.png)
다운로드하여 보관하고 지우는 과정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PWKgs/btrBu5jF3my/AE6bKscaDxzR8DhSfTxnyK/img.png)
여기까지 줌에서 학습한 내용을 클라우드에 기록하고 관리하는 방법이었습니다.
반응형
'컴퓨터 활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합소득세 확정 신고 (0) | 2022.05.22 |
---|---|
엣지에서 새로 등장한 기능, '가져온 탭' (3) | 2022.05.20 |
디지털배움터 교육 신청하기 (0) | 2022.04.26 |
디지털배움터 교육계획 관리 (0) | 2022.04.26 |
이 PC에 화면 표시 (1) | 2022.04.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