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컴퓨터 활용

[인공지능] 생성형 AI와 AI 검색

by easyfly 2024. 2. 3.
반응형

인공지능의 갈래, 생성형 AI와 AI 검색

인공지능의 두 가지 주요 갈래인 '생성형 AI'와 'AI 검색'은 비슷하지만 분명한 차이가 있습니다. '생성형 AI'는 인공지능이 학습한 내용으로 '작문'을 합니다. 그러나 'AI 검색'은 기존의 검색과 같은 기능이지만 검색어를 만드는데 AI를 활용하기 때문에 비교적 근거가 있는 정보를 찾아 줍니다.

  1. 생성형 AI (Generative AI)
    • 특징
      • 창의성: AI가 주어진 데이터를 바탕으로 새로운 콘텐츠를 창조합니다.
      • 다양성: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예: 그림, 글, 음악)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 사용자 맞춤형: 사용자의 입력에 기반하여 맞춤형 결과를 제공합니다.
    • 용도
      • 예술 작품 생성, 사용자 지정 콘텐츠 제작, 교육 자료 개발,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2. 생성형 AI는 새로운 콘텐츠를 자동으로 만들어내는 기술입니다. 이러한 AI는 텍스트, 이미지, 음악, 비디오 등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예로는 텍스트를 이미지로 변환하는 DALL-E나 텍스트를 바탕으로 글을 쓰는 GPT-3.5 또는 Google Bard 같은 모델이 있습니다. 네이버의 CLOVA는 여기에 해당됩니다.
  3. AI 검색 (AI Search)
    • 특징
      • 정확성: 관련성이 높은 결과를 찾아내는 것에 중점을 둡니다.
      • 데이터 처리 능력: 방대한 양의 데이터에서 필요한 정보를 신속하게 찾아냅니다.
      • 사용자 경험 최적화: 사용자의 검색 이력이나 선호도를 반영하여 결과를 개선합니다.
    • 용도
      • 정보 검색, 데이터 분석, 사용자 행동 분석, 마케팅 등의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4. AI 검색은 특정 정보를 찾기 위해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기술입니다. 구글 검색이나 다른 검색 엔진에서 사용되는 AI 알고리즘들이 이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AI는 사용자의 질문이나 검색어를 분석하여 관련된 정보를 찾아내고 정렬합니다. '네이버큐'는 네이버의 검색 기능에 AI를 활용한 새로운 검색 방법입니다.

비교

  • 목적의 차이: 생성형 AI는 새로운 콘텐츠를 만드는 것에 초점을 맞추는 반면, AI 검색은 기존의 정보를 찾고 정렬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 작동 방식의 차이: 생성형 AI는 주어진 입력으로부터 창의적인 결과를 만들어내는 반면, AI 검색은 주어진 질문에 가장 적합한 답을 찾는 데 집중합니다.
  • 활용 분야의 차이: 생성형 AI는 예술, 디자인, 광고 등 창의적인 분야에 주로 사용되며, AI 검색은 정보 검색, 데이터 분석 등 정보 중심의 분야에 주로 적용됩니다.

정리

두 기술 모두 인공지능의 발전에 기여하며, 각기 다른 방식으로 작동됩니다. 네이버는 '네이버 클로바'를 통해서 생성형 AI를 제공합니다. 검색을 강화한 '네이버 큐'는 인공지능을 결합하여 검색 결과를 제고한 검색 기능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