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621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하는 명령어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하는 명령어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하는 명령어는 기능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됩니다. 데이터 정의어(DDL), 데이터 조작어(DML), **데이터 제어어(DCL)**입니다. 각 범주의 개념과 주요 명령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1. 데이터 정의어 (DDL, Data Definition Language)데이터 정의어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정의하거나 변경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즉, 테이블, 인덱스, 뷰, 스키마 등의 형태와 구조를 설계할 때 사용합니다.주요 명령어 명령어 기능 CREATE새로운 데이터베이스 객체(테이블, 뷰, 인덱스 등)를 생성합니다.ALTER기존 객체의 구조를 수정합니다. (예: 컬럼 추가, 삭제, 데이터형 변경 등)DROP데이터베이스 객체를 완전히 삭제합.. 2025. 10. 5.
[MySQL] 100편의 시를 모으기까지 터미널에서 명령어 구조: mysql -H -u [사용자명] -p -D madang -e "..." > poems.html명령어 구성 요소 설명mysql: MariaDB 또는 MySQL 데이터베이스 클라이언트를 실행하는 명령어입니다.-H (또는 --html): 쿼리의 출력(Output)을 HTML 형식으로 만들라는 옵션입니다. 이 옵션이 가장 핵심적인 부분입니다.-u [사용자명]: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할 사용자 계정(User)을 지정하는 옵션입니다. [사용자명] 부분에 실제 DB 계정 이름을 입력합니다.-p: 비밀번호(Password)를 입력하겠다는 옵션입니다. 명령어를 실행하면 비밀번호를 묻는 프롬프트가 나타나 안전하게 입력할 수 있습니다.-D madang: 접속할 데이터베이스(Database)를 mad.. 2025. 10. 4.
AWS EC2 EBS 루트 볼륨 확장 방법 AWS EC2 EBS 루트 볼륨 확장 방법EC2 인스턴스를 운영하다 보면 디스크 용량 부족 문제가 자주 발생합니다. 특히 MySQL 같은 데이터베이스를 설치하려고 할 때는 충분한 저장 공간이 필요합니다. AWS에서는 EBS(Elastic Block Store) 볼륨을 간단히 확장할 수 있으며, 인스턴스를 중지하지 않고도 실시간으로 용량을 늘릴 수 있습니다. 아래는 Ubuntu 서버 기준의 확장 과정입니다.1. AWS 콘솔에서 볼륨 크기 확장EC2 대시보드 → 왼쪽 메뉴에서 Volumes(볼륨) 선택현재 인스턴스에 연결된 루트 볼륨(보통 /dev/xvda 또는 /dev/nvme0n1)을 선택Actions → Modify Volume 클릭원하는 크기(예: 기존 8GB → 20GB 이상)로 설정 후 저장상태가.. 2025. 10. 3.
AWS EventBridge, Lambda, Elastic Beanstalk 실습 후기 AWS EventBridge, Lambda, Elastic Beanstalk 실습 후기클라우드 환경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단순히 서버를 띄워보는 경험을 넘어, 자동화와 배포 플랫폼을 직접 다뤄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번 학습에서는 EventBridge와 Lambda를 이용한 EC2 자동 중지 실습, 그리고 Elastic Beanstalk을 통한 애플리케이션 배포 실습을 진행했습니다. 두 가지 과정 모두 AWS의 핵심 철학인 자동화와 관리 효율성을 잘 보여주는 좋은 경험이었습니다.1. EventBridge와 Lambda를 활용한 EC2 자동 중지먼저 진행한 실습은 EventBridge 이벤트를 트리거로 Lambda 함수를 실행하여 EC2 인스턴스를 자동으로 중지시키는 과정이었습니다. 평소에는 EC2를 콘솔에.. 2025. 10. 2.
AWS 모니터링의 중요성과 활용 방법 AWS 모니터링의 중요성과 활용 방법클라우드 환경에서 운영되는 서비스는 신뢰성, 가용성, 성능이 핵심입니다. 특히 Amazon Web Services(AWS)를 기반으로 하는 인프라는 다양한 구성 요소가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작은 장애도 전체 서비스 품질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모니터링(Monitoring)은 단순히 서버의 상태를 확인하는 수준을 넘어, 장애 예방, 성능 최적화, 보안 강화까지 포함하는 중요한 운영 활동입니다.1. 왜 AWS 모니터링이 중요한가?1) 신뢰성 유지서비스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를 지속적으로 확인하지 않으면, 예기치 못한 오류로 인해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EC2 인스턴스가 다운되었는데 이를 늦게 발견한다면, .. 2025. 10. 2.
Amazon Route 53 이해하기: 도메인과 트래픽을 관리하는 AWS의 핵심 서비스 Amazon Route 53 이해하기: 도메인과 트래픽을 관리하는 AWS의 핵심 서비스인터넷을 사용하다 보면 우리가 입력하는 주소는 대부분 도메인 이름입니다. 예를 들어 www.example.com 같은 주소는 사람이 기억하기 쉽지만, 실제 서버는 IP 주소로 식별됩니다. 이때 도메인을 실제 서버의 IP 주소로 변환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DNS(Domain Name System)**입니다.AWS에서는 이 DNS 기능을 클라우드 환경에 최적화한 서비스로 Amazon Route 53을 제공합니다. 단순한 도메인 이름 변환을 넘어, 전 세계 사용자에게 안정적이고 빠른 인터넷 연결을 제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1. Amazon Route 53이란?Amazon Route 53은 AWS가 제공하.. 2025. 10. 1.
[아이폰] 홈 화면 편집과 도크 관리 [아이폰] 홈 화면 편집과 도크 관리아이폰을 쓰다 보면 앱이 점점 많아져서 원하는 것을 찾기 어려워집니다. 이럴 때 홈 화면과 도크를 정리하면 훨씬 효율적으로 쓸 수 있습니다. 자주 사용하는 앱을 바로 꺼내 쓰고, 필요 없는 앱은 보관함으로 넘겨 깔끔하게 관리해 보세요.홈 화면 편집하기앱 이동하기원하는 앱을 길게 누르면 메뉴가 뜹니다. 여기서 ‘홈 화면 편집’을 선택하면 아이콘이 흔들리면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원하는 자리로 드래그하면 즉시 위치가 바뀝니다.앱 삭제하기앱이 흔들리는 상태에서 “-” 버튼을 누르면 삭제 메뉴가 나타납니다.앱 제거: 홈 화면에서만 사라지고 ‘앱 보관함’에는 남습니다.앱 삭제: 기기에서 완전히 삭제됩니다.폴더 만들기앱 하나를 다른 앱 위로 끌어놓으면 자동으로 폴더가 생깁니다. .. 2025. 9. 30.
docker compose exec 명령에서 -T 옵션 docker compose exec 명령에서 -T 옵션docker compose exec 명령에서 -T 옵션은 pseudo-TTY(가상 터미널) 할당을 비활성화한다는 의미입니다.1. 기본 동작보통 docker compose exec를 실행하면, 컨테이너 내부에서 TTY(터미널 인터페이스)를 자동으로 붙입니다.이게 없으면, 명령 실행 도중 입력을 받지 못하거나 화면 출력이 깨질 수 있습니다.2. mysqldump·mysql mysqldump나 mysql 표준 입력(stdin)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습니다.그런데 TTY가 붙어 있으면 입력 장치 충돌이 나서, 아래와 같은 오류가 납니다:the input device is not a TTY따라서 -T 옵션을 줘서 "TTY 붙이지 말라"고 해야, 파일 리다이렉션.. 2025. 9. 28.
[AWS Academy] ARN이란? 1. ARN의 정의AWS 리소스를 전 세계에서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이름 체계입니다.마치 주민등록번호나 차량 번호판처럼, AWS 내부에서 자원을 특정하는 식별자 역할을 합니다.2. ARN의 기본 구조ARN은 보통 다음 형식을 따릅니다:arn:partition:service:region:account-id:resource예시:arn:aws:ec2:ap-northeast-2:123456789012:instance/i-0abcd1234efgh56783. 구성 요소 설명arn : 고정 접두사 (항상 arn)partition : 파티션(리전 그룹)표준 AWS 리전: aws중국 리전: aws-cnGovCloud 리전: aws-us-govservice : 리소스가 속한 AWS 서비스 이름 (예: ec2, .. 2025. 9.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