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 주변의 신도시 개발 가능 부지 찾기 및 토지보상에 필요한 공시가격 추출 과정
1. QGIS 설치 및 데이터 준비
먼저 QGIS를 설치하고 필요한 데이터를 준비합니다. 필요한 데이터는 다음과 같습니다:
- 광주광역시의 토지이용계획도 (Land Use Plan)
- 공시지가 데이터 (Official Land Price Data)
- 지형 데이터 (DEM, Digital Elevation Model)
2. 데이터 불러오기
QGIS를 실행한 후, 준비된 데이터를 불러옵니다. 이는 QGIS의 ‘Layer’ 메뉴에서 ‘Add Layer’를 선택하여 데이터를 불러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토지이용계획도는 벡터 데이터로 불러오고, 지형 데이터는 래스터 데이터로 불러옵니다.
3. 개발 가능 부지 탐색
신도시 개발 가능 부지를 찾기 위해 다음 단계를 따릅니다:
a. 토지이용계획도 분석
토지이용계획도를 통해 개발 가능한 지역을 필터링합니다. QGIS에서 토지이용계획도의 속성 테이블을 열어 개발 가능 용도로 지정된 지역(예: 주거, 상업, 산업)을 선택합니다.
Layer Properties
->Symbology
에서 토지이용 계획에 따라 색상을 설정해 시각적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Attribute Table
을 이용해 필요한 조건으로 필터링합니다.
b. 지형 분석
지형 데이터를 활용해 지형적 제약이 적은 지역을 선택합니다. 이를 위해 경사도 분석을 수행합니다:
Raster
메뉴에서Terrain Analysis
->Slope
를 선택하여 경사도를 계산합니다.- 경사도가 낮은(평지) 지역을 우선적으로 고려합니다.
4. 개발 가능 부지 선택
필터링된 토지이용계획도와 지형 분석 결과를 겹쳐서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개발 가능 부지를 최종적으로 선정합니다.
Layer
메뉴에서Add Layer
->Add Raster Layer
를 선택하여 경사도 지도를 불러옵니다.Vector
메뉴에서Geoprocessing Tools
->Clip
을 이용해 겹치는 지역을 선택합니다.
5. 토지보상을 위한 공시가격 추출
개발 가능 부지의 토지보상을 위해 공시가격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a. 공시가격 데이터 불러오기
공시가격 데이터를 QGIS에 불러옵니다. 이 데이터는 보통 벡터 형식의 점 데이터로 제공됩니다.
b. 개발 가능 부지와 공시가격 데이터 결합
개발 가능 부지와 공시가격 데이터를 결합하여 각 부지의 공시가격을 확인합니다.
Vector
메뉴에서Data Management Tools
->Join Attributes by Location
을 선택하여 개발 가능 부지 레이어와 공시가격 데이터 레이어를 결합합니다.
c. 공시가격 추출
결합된 데이터를 통해 각 부지의 공시가격을 추출합니다.
Attribute Table
에서 필요한 속성(공시가격)을 확인하고 추출합니다.
6. 결과 도출 및 보고서 작성
최종적으로 개발 가능 부지와 그에 따른 공시가격을 도출합니다. 이를 기반으로 보고서를 작성합니다.
- QGIS의
Print Layout
을 이용해 지도를 시각화하고, 개발 가능 부지와 공시가격 정보를 포함한 보고서를 작성합니다.
결론
위의 과정을 통해 광주광역시 주변의 신도시 개발 가능 부지를 식별하고, 해당 지역의 토지보상에 필요한 공시가격을 추출할 수 있습니다. QGIS를 활용한 이러한 분석은 신도시 개발 계획 수립에 있어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효율적인 토지 이용과 개발을 가능하게 합니다.
'QGIS > QGIS 교육(2024)' 카테고리의 다른 글
[QGIS] QGIS에서 여러 레이어를 하나의 벡터 파일로 병합 (111) | 2024.07.16 |
---|---|
[QGIS] 온라인 맵핑 서비스를 검색하는 'Search QMS' (123) | 2024.07.15 |
[QGIS] 지리정보처리 도구 중 '디졸브(Dissolve)'와 '교차영역(Intersection)' (99) | 2024.07.12 |
[QGIS] 벡터 파일에서 다양한 확장자 파일의 기능 (103) | 2024.07.11 |
[QGIS] OpenStreetMap의 약자, OSM (138) | 2024.07.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