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컴퓨터 활용

NAS(Network Attached Storage) 서버를 구축하는 방법

by easyfly 2024. 9. 22.
반응형

NAS(Network Attached Storage) 서버를 구축하는 방법

가정에서 NAS(Network Attached Storage) 서버를 구축하는 것은 파일 저장 및 공유를 위한 효율적인 방법입니다. NAS 서버는 여러 기기에서 데이터를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하고, 백업 및 미디어 스트리밍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공유기를 이용하여 가정에서 NAS 서버를 구축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한 내용입니다.

1. 필요한 준비물

  • NAS 서버로 사용할 장비: 사용하지 않는 PC, 라즈베리 파이(Raspberry Pi), 또는 NAS 전용 장비(예: Synology, QNAP 등).
  • 하드 드라이브: 충분한 용량의 HDD 또는 SSD. NAS 서버에 파일을 저장할 공간을 제공.
  • 공유기: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들이 NAS 서버에 접근할 수 있도록 공유기와 연결.
  • 네트워크 케이블: NAS 서버와 공유기를 연결하기 위한 LAN 케이블.
  • NAS 소프트웨어: PC나 라즈베리 파이를 사용할 경우, NAS 소프트웨어(예: OpenMediaVault, FreeNAS, 또는 TrueNAS).

2. NAS 서버 준비

2.1. NAS 전용 장비 구입 또는 기존 PC 활용

  • 전용 NAS 장비: Synology나 QNAP 같은 NAS 전용 장비는 미리 설치된 소프트웨어와 직관적인 UI를 제공하여, 설정이 매우 간단합니다. 장비를 구입하고 네트워크에 연결한 후, 웹 브라우저에서 NAS 설정 페이지에 접속하여 초기 설정을 진행합니다.
  • 기존 PC 활용: 오래된 PC나 라즈베리 파이를 NAS 서버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OpenMediaVault나 TrueNAS 같은 무료 NAS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면 됩니다.

2.2. NAS 소프트웨어 설치

  • OpenMediaVault: 오픈소스 기반 NAS 소프트웨어로, 설정과 사용이 간편합니다. 라즈베리 파이와 같은 저전력 장치에서도 잘 동작합니다.
    1. OpenMediaVault 공식 사이트에서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하고 USB에 설치 이미지를 작성합니다.
    2. NAS로 사용할 장비에 USB를 연결하고 부팅하여 설치를 진행합니다.
    3. 설치가 완료되면, 웹 브라우저를 통해 NAS의 IP 주소로 접속하여 설정 페이지에 들어갑니다.
  • FreeNAS/TrueNAS: 더 강력한 NAS 서버를 구축하려면 FreeNAS나 TrueNAS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설치 과정은 OpenMediaVault와 유사하며, 대규모 데이터 처리에도 적합합니다.

3. 공유기 설정

3.1. NAS 서버의 IP 주소 고정

공유기에서 NAS 서버의 IP 주소를 고정해야 NAS가 네트워크에서 안정적으로 동작합니다.

  1. 공유기의 관리자 페이지에 접속합니다(일반적으로 192.168.1.1 또는 192.168.0.1).
  2. "DHCP" 설정 메뉴에서 NAS 장비의 MAC 주소를 찾아 IP 주소를 고정으로 설정합니다.
  3. 이렇게 하면 NAS 서버가 재부팅되더라도 같은 IP 주소를 유지하게 됩니다.

3.2. 포트 포워딩 설정 (원격 접속 시)

NAS 서버에 외부에서 접근하려면 포트 포워딩 설정이 필요합니다.

  1. 공유기의 "포트 포워딩" 메뉴에서 NAS 서버에 사용할 포트를 설정합니다.
    • 예: 5000번 포트를 NAS 서버의 IP 주소로 포워딩.
  2. 이 설정을 통해 외부에서도 IP 주소와 포트를 입력하여 NAS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4. NAS 서버 초기 설정

4.1. 사용자 계정 및 권한 설정

NAS 서버에 접속한 후, 여러 사용자 계정을 만들어 각 사용자별로 파일 접근 권한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가족 구성원이나 직장 동료 등과 NAS를 공유하는 경우, 각각의 계정에 권한을 부여하면 안전하게 파일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

4.2. 공유 폴더 생성

  • 파일을 저장할 폴더를 생성하고 각 사용자별로 읽기/쓰기 권한을 설정합니다.
  • 미디어 파일, 문서, 백업 파일 등을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폴더를 구성합니다.

4.3. 백업 설정

NAS 서버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는 데이터를 백업하는 것입니다. 자동 백업 기능을 설정하면 PC, 스마트폰 등의 데이터를 NAS에 주기적으로 백업할 수 있습니다. OpenMediaVault나 TrueNAS에서는 백업 스케줄을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5. 클라우드 기능 활성화

대부분의 NAS 소프트웨어는 클라우드 서비스와 연동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NAS 서버에 저장된 파일을 외부에서도 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또한 NAS 서버에 파일을 자동으로 업로드하는 동기화 클라이언트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6. 추가 기능 활용

NAS 서버는 단순한 파일 저장소를 넘어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 미디어 서버: Plex나 Emby 같은 미디어 서버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면 NAS 서버를 통해 가정 내 모든 기기에서 영화, 음악, 사진을 스트리밍할 수 있습니다.
  • VPN 서버: NAS 서버를 통해 VPN 서버를 구축하면, 외부에서 가정 네트워크에 안전하게 접속할 수 있습니다.
  • 웹 서버: NAS 서버에서 간단한 웹 서버를 운영하여 개인 프로젝트나 웹사이트를 호스팅할 수 있습니다.

7. 보안 설정

NAS 서버는 외부에서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보안 설정이 매우 중요합니다.

  • 방화벽 설정: NAS 서버에 방화벽을 설정하여 외부에서의 불법 접근을 차단합니다.
  • SSL 인증서 설치: HTTPS를 통해 NAS 서버에 접근할 수 있도록 SSL 인증서를 설치합니다.
  • 2단계 인증: 로그인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2단계 인증을 설정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결론

가정에서 NAS 서버를 구축하면 파일 관리가 효율적이고, 여러 기기에서 데이터를 쉽게 공유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백업 기능을 통해 중요한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습니다. NAS 전용 장비를 구입하는 방법도 있지만, 기존의 PC나 라즈베리 파이를 활용하여 저렴하게 NAS 서버를 구축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합니다. 설치 후 네트워크 설정과 보안을 철저히 관리하여 안정적이고 안전한 NAS 서버를 운영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