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마트폰 교육/스마트폰 활용 팁

스마트폰 내부 아이피 확인 방법

by easyfly 2025. 4. 3.
반응형

스마트폰 내부 아이피 확인 방법

스마트폰이 연결된 와이파이 네트워크에서 할당받은 내부 IP 주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내부 아이피는 공유기에서 할당 받은 아이피입니다.

내 스마트폰 내부 아이피

확인된 내부 아이피


IPv4 주소: 172.30.1.40
IPv6 주소: fe80::b075:99ff:fe3c:ab1a

이 주소는 스마트폰이 해당 와이파이 네트워크(예: 가정이나 사무실 공유기) 내에서만 사용하는 사설 IP 주소입니다.

추가 정보


172.30.1.40와 같은 주소는 일반적으로 공유기(DHCP 서버)에 의해 자동으로 할당됩니다.

만약 외부에서 스마트폰에 접속하거나, 스마트폰이 인터넷상에서 어떤 IP로 보이는지 알고 싶으시다면, 스마트폰에서 웹 브라우저를 열고, 내 IP 주소 또는 "내 IP 주소" 라고 검색해 보시면 공인 IP가 표시됩니다.

현재 스마트폰의 IP 주소가 172.30.1.40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스마트폰이 연결된 와이파이 네트워크의 IP 대역이 172.30.1.xxx임을 알 수 있습니다.

192.168.142.200 연결은 어려워

즉, 스마트폰이 172.30.1.xxx 대역에 있고, 연결하려는 장치가 192.168.142.xxx 대역에 있다면 서로 통신할 수 없습니다.

연결을 위한 해결 방법

두 기기를 같은 네트워크 대역으로 맞추기

예를 들어, 192.168.142.xxx 대역에 있는 기기와 통신하려면,
스마트폰이 연결된 와이파이 공유기의 설정을 변경해서 IP 대역을 192.168.142.xxx로 바꾸거나,
스마트폰이 192.168.142.xxx 대역 와이파이에 연결되어야 합니다.

스마트폰에서 고정 IP 설정하기

와이파이 설정 > 고급 > IP 설정 > DHCP → 고정 IP로 변경
IP 주소에 192.168.142.xxx 범위 값을 수동 입력
※ 이 방법은 공유기에서 해당 대역을 허용하고 있어야 하며, 충돌이 없어야 합니다.

공유기에서 두 네트워크를 브리지(Bridge)로 연결

일반적인 사용자 환경에서는 어렵고, 네트워크 전문 지식이 필요합니다.


반응형

댓글

easyfly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