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AWS 계정 생성 및 리전 선택
리전 선택
AWS는 전 세계 여러 지역(리전)에 데이터 센터를 운영합니다. 리전은 사용자가 데이터를 저장하고 서비스를 운영하는 지리적 위치를 의미합니다.
🌍 리전(Region) 선택 방법
AWS는 전 세계 여러 지역(리전)에 데이터 센터를 운영합니다. 리전은 사용자가 데이터를 저장하고 서비스를 운영하는 지리적 위치를 의미합니다.
✅ 리전 선택 기준
기준설명
지리적 근접성 | 사용자와 가까운 리전을 선택하면 지연 시간(Latency)이 낮아집니다. |
서비스 가용성 | 일부 AWS 서비스는 특정 리전에서만 제공됩니다. |
법률 및 규정 | 데이터를 어느 나라에 저장할지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이나 법률이 다를 수 있습니다. |
비용 | 같은 서비스라도 리전마다 비용이 다를 수 있습니다. |
✅ 주요 리전 예시
리전 이름코드위치
아시아 태평양(서울) | ap-northeast-2 | 대한민국 서울 |
미국 동부 (버지니아 북부) | us-east-1 | 미국 |
아시아 태평양(도쿄) | ap-northeast-1 | 일본 |
유럽(프랑크푸르트) | eu-central-1 | 독일 |
🔄 리전은 AWS 콘솔 오른쪽 상단에서 변경할 수 있습니다.
💡 추천 설정
- 처음 사용하는 경우: 서울 리전(ap-northeast-2)을 선택하는 것이 가장 무난합니다.
- AI, 머신러닝 서비스 사용 시: us-east-1 리전이 가장 많은 서비스를 지원합니다.
결제 정보 입력
결제는 무료 티어라도 계정 인증을 위해 카드가 필요합니다. 소액(1달러 미만)이 승인 후 취소됩니다.(제 경우는 100원이 입금 됐다가 바로 취소)
서비스 선택
일단은 “Basic Support - Free”를 선택합니다.
AWS는 사용량 기반 과금(pay-as-you-go) 방식으로, 필요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합니다. 시작 시에는 Basic Support 요금제(무료)를 선택하며, EC2, S3, RDS 등 주요 서비스는 Free Tier에서 12개월간 제한된 용량 내 무료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가입 완료
AWS 가입을 완료하면 콘솔에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 먼저 우측 상단에서 리전을 확인하고, S3(스토리지) 또는 EC2(가상서버)와 같은 기본 서비스를 생성해 보세요. 과금 방지를 위해 청구 대시보드 설정도 꼭 확인하세요.
AWS와의 만남
클라우드를 처음 접하며 AWS와 마주했습니다. 계정 생성부터 리전 선택, 무료 요금제 설정까지 차근히 따라가니 복잡하던 클라우드가 친숙하게 다가왔습니다. 이제 작은 실습부터 시작해보려 합니다.
반응형
'컴퓨터 활용 > 노년에 즐기는 코딩'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버전 관리 시스템의 핵심 구조 (3) | 2025.05.19 |
---|---|
[Git] 옵션 중에 '-u' 의미와 기능 (3) | 2025.05.15 |
AWS의 등장과 클라우드 컴퓨팅 (6) | 2025.05.12 |
MySQL 사용자 fastapiuser가 외부 시스템(다른 PC 등)에서도 접속 가능 (4) | 2025.05.11 |
SQL 스타일 가이드 (1) | 2025.05.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