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어플들
부동산 관련 어플이 많습니다. 그 뒤에는 GIS프로그램과 공공데이터가 있습니다. 공공데이터를 이용한 부동산 어플들. 일반인의 부동산 거래에 큰 도움이 됩니다.
용도와 개발 주체에 따라 분류하고자 합니다. 사용법은 차후 하나씩 소상하게 알려 드리겠습니다.
다양한 부동산 어플들 모음
![](https://blog.kakaocdn.net/dn/1yWvL/btrISNZeDfs/U8JQjcXp7uwRVD7RBhcOz1/img.jpg)
정부 기관에서 운영하는 공적 어플들
국토교통부를 비롯 정부에서 정보 공유와 공정한 거래 질서를 위해 개발된 어플입니다.
국토종합계획
제목 그대로 '국토종합계획'을 소개하는 어플입니다. 국토종합계획과 도시기본계획의 큰 갈래가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EhYaW/btrIYZ4niSa/mwM4dHf1AYRkRgwj2KCuO1/img.jpg)
스마트 국토정보
디지털화한 국토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입니다. 정부에서 개발해서인지 표정이 무뚝뚝합니다. 검색이 잘못되면 백지를 날리면서 좀체 원상회복이 안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럴 때는 폰을 리부팅하는 것이 최선.
![](https://blog.kakaocdn.net/dn/TfOsq/btrIXQtjYZM/kf0RpCUBlIlWxVCVayfYa0/img.jpg)
토지e음
'토지e음'은 정부 개발 어플치고는 표정이 다채롭습니다. '카카오 지도'와 '네이버 지도'와 콜라보를 이뤄 편의성을 대폭 확대한 어플입니다. 장래가 촉망된다고나 할까?
![](https://blog.kakaocdn.net/dn/bsHliC/btrITorjF1S/vx17kgK7f0MeNb7YxrIJf0/img.jpg)
실거래가
국토교통부가 제공하는 부동산 실거래 정보입니다. 부동산 실거래가를 제공하는 정부 서비스로 판단하면 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HSk8u/btrITqilYAd/Z6dfulLiWPjdMKoXgAZks1/img.jpg)
민간에서 개발한 어플들
더원법률경매
경매 물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일정별로, 법원별로 경매 정보에 대해 검색할 수 있고 참여 방법을 공유하는 어플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HfCzC/btrIY1nA3K8/oJw2LCKYD78PbyfUUYKl80/img.jpg)
네이버 부동산
막강한 포털 파워로 부동산 분야에 손을 디민 어플입니다. 네이버 플랫폼 배경으로 어떤 발전이 있을지 주목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Xjfd8/btrITqbx3As/v6KDXzfXRhcuS1obm2qZ11/img.jpg)
다음 부동산
네이버 부동산과 같은 콘셉트로 다음 포털 파워를 배경으로 출발했습니다. 그러나 2022년 5월 16일 어플 운영을 마감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dRmK7/btrISN5YRTg/baNlxK9ba8NoCKVJkEVd1k/img.jpg)
KB부동산
국민은행이 부동산업에 끼어든 경우네요. 포털과 비슷한 파워로 출발했는데 아직 특이점은 발견되지 않군요. 은행 정보력과 자금력을 바탕으로 뭔가 일을 낼 것 같은 느낌은 드는군요.
![](https://blog.kakaocdn.net/dn/9xq8J/btrI0fy9hP9/j9yrNd50wzvPLXkxCt9kW1/img.jpg)
다윈중개
공인중개사 협회에 도전장을 던진 경우입니다. 부동산중개업의 공유 콘셉트이라 해야 할까요. 저렴한 중개수수료를 매개로 새로운 부동산 중개 시장을 개척하겠다는 야심이 보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7ZZZT/btrIVhd6W73/6jGpqW1HhM0WB90qyQ2zhk/img.jpg)
땅야
'땅이야'에서 제목을 땄군요. 깔도 약간은 촌스러운데, 아마 어플 콘셉트가 '레트로' 지향인 듯하군요. 그런대로 정감은 느껴지는데 정보 제공에서는 약간 뒤진다는 느낌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R9ilT/btrIWMSwzqH/58OWseapfULsX9UAeIgeUK/img.jpg)
부동산 플래닛
플래닛은 '행성'을 의미하는데 부동산에 플래닛을 붙였군요. 세련된 도시 감성으로 만들어진 이플이군요. 거래된 시기까지 함께 보여주는 센스가 있군요.
![](https://blog.kakaocdn.net/dn/b1yScp/btrIVgl1xRw/mYVj8i9a9dIUw7PbJVxZ30/img.jpg)
디스코
부동산에 '디스코'라. 디스코는 빠르고 경쾌한 80년대 유행 음악입니다. 부동산과 빠른 음악. 뭔가 조화롭지 않은데도 손이 자주 가는 어플입니다. 지역 중개사들 참여를 통한 소통 중심의 부동산 정보 이플을 지향하는 듯하군요.
![](https://blog.kakaocdn.net/dn/AbO3X/btrIT91GqJG/mNwJUtsk8vIKktTv44XRB0/img.jpg)
직방과 다방
'직방', '다방'은 약간은 소규모 고객을 상대한다는 느낌의 어플입니다. 젊은 세대들의 소통 방법인 미디어 매체가 자주 쓰일 것 같은 느낌이 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qNin8/btrIWMycwlK/1w2yv2m1TdYL91Mpy7FmN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VRPUY/btrI0feQ7uu/SYP4A8zbfJOmFiCBKFjSM1/img.jpg)
'스마트폰 교육 > 스마트폰 활용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진 기본 어플, 갤러리 (0) | 2022.08.10 |
---|---|
갤러리에서 콜라주를 (0) | 2022.08.09 |
내 일상을 제어하라, 구글지도 타임라인 (2) | 2022.08.03 |
고대비 키보드와 글씨팡팡 (0) | 2022.08.02 |
카카오톡 메시지 예약 (3) | 2022.07.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