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git 초기화 명령, git init
git init
명령은 새로운 Git 저장소를 초기화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명령을 실행하면 현재 디렉토리에 .git
폴더가 생성되며, 이 폴더 안에는 모든 버전 관리 정보와 필요한 Git 데이터베이스 파일들이 저장됩니다. 즉, 해당 디렉토리가 Git으로 관리되는 프로젝트의 루트가 됩니다.
git init
명령을 사용하는 기본적인 단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 프로젝트 디렉토리로 이동합니다. 만약 새로운 프로젝트라면 새 디렉토리를 생성하고 해당 디렉토리로 이동합니다.
- 디렉토리에서
git init
명령을 실행합니다. - Git은 그 디렉토리를 새로운 저장소로 초기화하고,
.git
폴더를 생성하여 버전 관리를 시작합니다.
이후로 파일을 새로 생성하거나 수정할 때, 이러한 변경 사항을 커밋하여 Git 저장소의 히스토리에 기록할 수 있습니다. 커밋하기 전에는 git add
명령을 사용하여 변경된 파일들을 스테이징 영역에 추가해야 합니다.
git init
명령은 기존 프로젝트를 Git으로 관리하고자 할 때 사용하거나,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하고 처음부터 버전 관리를 적용하고자 할 때 사용합니다. 이 명령은 로컬 저장소를 생성하므로, 다른 사람과 협업하기 위해서는 이 로컬 저장소를 원격 저장소에 연결하는 추가 작업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GitHub에 리포지토리를 생성하고 로컬 저장소를 원격 저장소에 연결할 수 있습니다.
정리
git init
명령은 매우 강력하면서도 단순하므로 Git을 사용하는 프로젝트의 시작점으로 자주 사용됩니다.
반응형
'컴퓨터 활용 > 노년에 즐기는 코딩'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GitHub에서 '비공개'(Private)와 '공개'(Public) 저장소의 차이 (94) | 2024.02.06 |
---|---|
[git] GitHub에서 '비공개'(Private)와 '공개'(Public) 저장소의 차이 (50) | 2024.02.06 |
[git] `git push --set-upstream origin main` 의 의미 (153) | 2024.02.05 |
[git] 저장소(Repository)와 프로젝트 차이 (102) | 2024.02.01 |
[git] GitHub Desktop 폴더 선택에 대하여 (80) | 2024.02.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