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구글 문서에서 '사본 만들기'와 '다운로드'의 차이는?
구글 문서에서 '사본 만들기'와 '다운로드'는 목적과 결과가 다릅니다.
1. 사본 만들기 (Make a copy)
- 목적: 원본 문서를 그대로 복사해서 새로운 문서를 생성하는 기능입니다.
- 결과: 사본이 생성된 후, 원본과는 별개의 문서로 취급됩니다. 즉, 새로 만들어진 문서는 원본 문서의 편집, 삭제 등과 무관하게 독립적인 문서로 존재합니다.
- 사용 상황: 다른 사람과 협업할 때, 원본을 그대로 두고 개인적으로 수정하거나 편집해야 할 때 유용합니다. 예를 들어, 템플릿을 사용해 여러 사람에게 개인화된 문서를 제공할 때 적합합니다.
2. 다운로드 (Download)
- 목적: 구글 문서를 다른 파일 형식으로 컴퓨터에 저장하는 기능입니다.
- 결과: 문서가 .docx, .pdf, .txt, .rtf 등 다양한 파일 형식으로 변환되어 다운로드됩니다. 이 과정에서 문서의 포맷이나 디자인 등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사용 상황: 구글 문서 외의 다른 프로그램에서 문서를 열어 수정하거나 인쇄하고자 할 때 유용합니다. 예를 들어, 구글 문서를 Microsoft Word 형식으로 다운로드하거나 PDF로 저장해 출력할 때 사용됩니다.
요약
- 사본 만들기는 문서를 복사하여 구글 드라이브에서 새로운 문서를 생성하는 것.
- 다운로드는 문서를 다른 파일 형식으로 변환해 로컬 컴퓨터에 저장하는 것.
반응형
'컴퓨터 활용 > 구글을 통한 스마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문서 통번역 기능 (6) | 2025.02.06 |
---|---|
구글 문서 스타일 활용, 스타일 업데이트 (6) | 2025.01.25 |
구글문서별 아이콘 의미 (40) | 2024.12.04 |
[구글] 이미지에서 텍스트 추출 (40) | 2024.12.03 |
Google Drive 사용에서 로컬 데이터 캐시 (32) | 2024.11.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