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AWS에서 EC2 인스턴스 생성 방법
✅ EC2 인스턴스 생성 단계 (2025년 기준 AWS 콘솔 기준)
1. EC2 서비스로 이동
- 콘솔 상단 검색창에 EC2 입력 → EC2 클릭
2. 인스턴스 시작
- 오른쪽 가상 서버 시작에서 → 버튼 인스턴스 시작 클릭
✅ 1단계: 이름 및 애플리케이션
- 인스턴스 이름: 예) my-first-ec2
- 애플리케이션 및 OS 이미지: 기본값은 Amazon Linux 2023 (또는 Ubuntu 등 선택 가능)
- 아키텍처: 기본값 64비트(x86) 유지
- Amazon Machine Image (AMI): 원하시는 OS를 선택하세요. (예: Amazon Linux, Ubuntu 등)
✅ 2단계: 인스턴스 유형
- t2.micro 또는 t3.micro 선택 (프리 티어 무료 사용 가능)
- CPU, 메모리 사양을 확인
✅ 3단계: 키 페어 (로그인)
- 기존 키 페어 선택 또는 새 키 페어 생성
- 새로 생성 시: 이름 입력 후 .pem 파일 다운로드 (꼭 저장해 두세요, 다시 받을 수 없습니다)
✅ 4단계: 네트워크 설정
- 기본 VPC 및 서브넷 자동 선택 가능
- 퍼블릭 IP 자동 할당: 활성화 선택
- 보안 그룹 설정:
- 새 보안 그룹 생성 선택
- 규칙 추가: SSH (22번 포트), HTTP (80번 포트) 필요 시 HTTPS (443번) 도 추가
- SSH는 "내 IP"로 제한 권장
✅ 5단계: 스토리지 구성
- 기본 설정(8~30GB) 유지 가능
- 추가 디스크 필요 시 볼륨 추가
✅ 6단계: 요약 확인 후 시작
- 모든 설정 확인
- 인스턴스 시작 클릭
✅ 7단계: 인스턴스 상태 확인
- 인스턴스 리스트로 이동
- 인스턴스 상태가 'running'(실행 중)으로 바뀌면 접속 가능
✅ SSH로 접속하기 (Windows 기준)
- 다운로드한 .pem 파일 준비
- Windows에서는 Git Bash 또는 WSL, PuTTY 사용 가능
- 접속 명령:
chmod 400 my-key.pem # 첫 실행 시
ssh -i my-key.pem ec2-user@<퍼블릭IP>
- Amazon Linux인 경우 사용자명: ec2-user
- Ubuntu인 경우 사용자명: ubuntu
반응형
'컴퓨터 활용 > 노년에 즐기는 코딩' 카테고리의 다른 글
EC2 인스턴스에서 새 사용자 계정 추가 (2) | 2025.05.21 |
---|---|
Git 버전 관리 시스템의 핵심 구조 (3) | 2025.05.19 |
[Git] 옵션 중에 '-u' 의미와 기능 (3) | 2025.05.15 |
AWS 계정 생성 및 리전 선택 (2) | 2025.05.13 |
AWS의 등장과 클라우드 컴퓨팅 (6) | 2025.05.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