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수정 전 상태로 복구하는 방법
git stash pop을 실행한 뒤 config/settings.py와 config/urls.py 두 파일이 다시 수정됨(modified) 상태로 나타났습니다. 즉, stash에 저장했던 변경 사항이 다시 적용된 상태입니다. 어제 카카오톡을 통한 소셜 로그인을 시도하다가 아무래도 말썽이 날 것 같아 원상 복구를 하려고 맘먹었습니다.
git restore로 복원하는 방법
만약 이 두 파일을 현재의 수정 내용에서 마지막 커밋 상태(본래 상태)로 되돌리고 싶다면 다음 명령을 실행하면 됩니다:
git restore config/settings.py config/urls.py
이렇게 하면 두 파일은 가장 최근 커밋된 내용으로 되돌아가고, git status에서 modified 항목이 사라지게 됩니다.
모든 변경 파일을 한 번에 복원하려면
변경된 파일이 여러 개라면 아래처럼 간단히 전체를 되돌릴 수도 있습니다:
git restore .
이 경우, 현재 작업 디렉터리의 모든 수정 사항이 삭제되고 마지막 커밋 상태로 돌아갑니다.
✅ 정리:
- 특정 파일만 원래대로:
git restore config/settings.py config/urls.py - 모든 파일을 원래대로:
git restore .
반응형
'컴퓨터 활용 > 노년에 즐기는 코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딩] 가상머신에 VSCode Server 설치하기 (5) | 2025.09.02 |
---|---|
[AWS] 인스턴스 변경에 대하여 (1) | 2025.09.02 |
Django-MySQL-Labs 프로젝트로 보는 서비스 이름과 컨테이너 이름 (4) | 2025.08.28 |
Docker Compose에서 서비스 이름과 컨테이너 이름의 차이 (5) | 2025.08.27 |
도커 컨테이너 (1) | 2025.08.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