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WS10

Amazon Web Services(AWS)와 Google Cloud Platform(GCP) Amazon Web Services(AWS)와 Google Cloud Platform(GCP)AWS와 구글(Google Cloud)은 모두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두 회사의 핵심 목표는 같지만, 구조·서비스 구성·요금 체계·활용 방식에는 분명한 차이가 있습니다.아래에서는 Amazon Web Services(AWS)와 Google Cloud Platform(GCP)의 대표 스토리지 방식을 항목별로 비교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 1. 기본 개념 비교 구분 AWS Google Cloud 대표 서비스Amazon S3 (객체 스토리지)Google Cloud Storage (GCS)추가 서비스EBS(블록), EFS(파일), Glacier(아카이브)Persistent Disk(블록), Filestor.. 2025. 10. 23.
[AWS Academy] 아마존에서 제공하는 AWS Academy 아마존에서 제공하는 AWS Academy AWS Academy는 아마존 웹 서비스(AWS)가 전 세계 대학, 교육 기관, 직업 훈련 과정 등을 대상으로 운영하는 클라우드 교육 프로그램입니다. 학생들이 클라우드 컴퓨팅과 관련된 지식과 기술을 실제 환경에서 학습할 수 있도록 실습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1. AWS Academy 개요운영 주체: Amazon Web Services (AWS)대상: 대학생, 직업훈련생, 교육기관의 교원 및 학습자목표: 클라우드 기술 교육과 실습 기회를 제공하여, 클라우드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 마련2. 주요 특징실습 환경 제공 (AWS Management Console Lab)교육용 계정을 통해 실제 AWS 클라우드 환경을 체험할 수 있습니다.교재에 따라 실습 과제를.. 2025. 9. 25.
aws ec2 modify-instance-attribute ... --block-device-mappings ... 구문 완전 해설 aws ec2 modify-instance-attribute ... --block-device-mappings ... 구문 완전 해설한 줄 요약해당 명령은 특정 EC2 인스턴스(i-...)의 블록 디바이스 매핑을 수정하여, 루트 볼륨(/dev/xvda)이 인스턴스 종료 시 자동 삭제되지 않도록(DeleteOnTermination:false) 설정합니다.전체 구문 구조aws ec2 modify-instance-attribute \ --instance-id i-XXXXXXXXXXXX \ --block-device-mappings "[{\"DeviceName\":\"/dev/xvda\",\"Ebs\":{\"DeleteOnTermination\":false}}]"aws ec2: AWS CLI로 EC2 서비스.. 2025. 9. 16.
AMI(Amazon Machine Image)란? AMI(Amazon Machine Image)란?AMI는 AWS에서 인스턴스를 만들기 위한 '운영체제 + 기본 설정 + 소프트웨어 패키지'가 들어 있는 템플릿 이미지입니다.쉽게 말하면, EC2 인스턴스를 찍어내는 원본 설계도라고 보시면 됩니다.주요 구성 요소운영체제(OS)Linux, Ubuntu, Amazon Linux, Windows Server 등애플리케이션 및 설정웹 서버(Apache, Nginx), 데이터베이스(MySQL, PostgreSQL) 등 미리 포함 가능EBS 볼륨 스냅숏루트 디스크(운영체제가 설치된 디스크)의 복사본AMI의 활용새 인스턴스 생성EC2 인스턴스를 시작할 때 AMI를 선택해야 합니다.예: "Ubuntu 22.04 LTS AMI"를 고르면 우분투가 설치된 인스턴스가 바로 실행.. 2025. 9. 3.
AWS에서 멀티 세션 지원 활성화 여부 AWS에서 멀티 세션 지원 활성화 여부AWS에서 멀티 세션 지원 비활성화와 관련된 안내 팝업창입니다. 주요 내용을 정리합니다.🔐 멀티 세션 지원 비활성화 안내위 팝업은 멀티 세션(Multi-session) 기능을 비활성화하려고 할 때 나타나는 창입니다.멀티 세션이란 동일한 브라우저에서 여러 AWS 계정 또는 IAM 사용자 계정에 동시에 로그인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기능입니다.비활성화 시, 현재 사용 중인 세션도 종료되며 다른 계정으로 동시에 로그인할 수 없게 됩니다.📌 비활성화 시 주요 변화 항목 설명 기존 세션자동 로그아웃됨이후 로그인한 계정만 로그인 가능 (동시 다중 로그인 불가)브라우저별 영향해당 브라우저에서만 적용 ✅ 권장사항여러 계정(예: 루트 계정 + IAM 계정)을 자주 동시에 사용하는.. 2025. 7. 23.
AWS 로그인 방법 2가지 차이 AWS 로그인 화면에서는 두 가지 사용자 유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Root user와 IAM user입니다. 두 사용자 유형의 차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Root user (루트 사용자)설명: AWS 계정을 생성한 **최초 사용자 (계정 소유자)**입니다.권한: 계정 내 모든 서비스와 리소스에 대해 무제한(full access) 권한을 가집니다.용도:결제 정보 변경계정 보안 설정 (MFA, 루트 비밀번호 등)다른 사용자 생성 및 권한 부여주의사항: 보안상으로는 자주 사용하지 않는 것이 권장되며, 사용 시 MFA(다단계 인증) 설정을 꼭 해야 합니다.✅ IAM user (IAM 사용자)설명: 루트 사용자가 생성한 일반 사용자 계정입니다.권한: 루트 사용자가 부여한 권한에 따라 제한적 권한만 가짐 (예:.. 2025. 7. 22.
리눅스 서버에서 타임존(Timezone) 설정 리눅스 서버에서 타임존(Timezone) 설정하는 법 – 한국 시간으로 바꾸기리눅스 서버를 운영하다 보면, 시스템 시간이 UTC로 되어 있어 불편한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특히 한국에서 서버를 운영하는 경우, 로그 기록이나 시간 기반 작업이 실제 시간과 다르게 기록되어 혼란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리눅스 시스템, 특히 우분투(Ubuntu) 환경에서 시간대를 한국 표준시(KST, Asia/Seoul)로 설정하는 방법을 차근차근 안내해 드리겠습니다.1. 현재 시간대 확인하기가장 먼저, 현재 시스템의 시간대가 어떻게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해 봅니다.date출력 결과가 아래와 같이 UTC로 되어 있다면 시간대 변경이 필요합니다.Sat Jul 12 04:53:08 UTC 20252. 시간대 설정 변경시.. 2025. 7. 15.
[AWS] CloudFormation은 AWS의 인프라 자동화 도구 CloudFormation은 AWS의 인프라 자동화 도구입니다. 개발자나 운영자가 복잡한 클라우드 환경을 코드 한 줄 없이도 한 번에 자동으로 구축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AWS에서 제공하는 Infrastructure as Code (IaC) 도구 중 하나이며, 템플릿(JSON 또는 YAML)을 이용하여 리소스를 선언적으로 정의합니다.✅ CloudFormation의 핵심 역할1. AWS 인프라 자원의 자동 생성 및 배포EC2 인스턴스, VPC, 서브넷, S3 버킷, RDS, 보안 그룹 등 다양한 리소스를 코드로 정의한 후,CloudFormation이 이 정의대로 자동으로 모든 자원을 생성해 줍니다.📌 예시:템플릿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으면…Resources: MyEC2Instance: Typ.. 2025. 5. 28.
AWS에서 EC2 인스턴스 생성 방법 AWS에서 EC2 인스턴스 생성 방법✅ EC2 인스턴스 생성 단계 (2025년 기준 AWS 콘솔 기준)1. EC2 서비스로 이동콘솔 상단 검색창에 EC2 입력 → EC2 클릭2. 인스턴스 시작오른쪽 가상 서버 시작에서 → 버튼 인스턴스 시작 클릭✅ 1단계: 이름 및 애플리케이션인스턴스 이름: 예) my-first-ec2애플리케이션 및 OS 이미지: 기본값은 Amazon Linux 2023 (또는 Ubuntu 등 선택 가능)아키텍처: 기본값 64비트(x86) 유지Amazon Machine Image (AMI): 원하시는 OS를 선택하세요. (예: Amazon Linux, Ubuntu 등)✅ 2단계: 인스턴스 유형t2.micro 또는 t3.micro 선택 (프리 티어 무료 사용 가능)CPU, 메모리 사양을 .. 2025. 5.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