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브로피아
도서관 열람카드가 스마트폰으로 들어왔습니다. 카드를 가지고 다닐 필요 없이 스마트폰에 있는 어플로 도서를 대출할 수 있는 앱이 '리브로피아'입니다. 물론 대출 현황도 알아볼 수 있고 대출 이력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도서관을 자주 이용하는 저로서는 대단히 고마운 어플입니다.
도서관 회원증은 상단의 왼편에 있습니다. 도서관은 지역에 따라 관리 범위가 다릅니다. 광주광역시의 경우는 광주광역시에서 운영하는 도서관과 광주광역시 교육청에서 운영하는 도서관이 있습니다. 그 외에도 몇 개의 도서관 등이 있습니다만 가장 많이 이용되는 도서관 군은 시립도서관과 교육청 도서관입니다.
모바일 회원증
회원증은 본래 플라스틱 형태의 카드로 되어 있습니다. 지금도 카드회원증은 그대로 사용됩니다. 더불어 모바일 회원증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모바일회원증이 있으면 굳이 카드를 소지하지 않아도 도서관 이용이 자유롭습니다. 경우에 따라 입출입을 할 때 카드 인증을 하는 경우는 카드를 소지해야 합니다만 갈수록 카드 인증은 없어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여기서 도서관 회원증이란 이미 선택된 도서관의 회원증을 의미합니다. 위 건물 아이콘 옆에 '광주광역시립도서관(무등,사직...)이 기록된 곳의 회원증을 의미합니다. 만약 교육청 산하 도서관이라면 건물 아이콘을 선택하여 도서관을 변경해야 합니다.
회원증의 생김새는 동일합니다. 성명과 QR코드와 바코드 등이 있어 이것을 이용하여 회원임을 인증합니다. 상태 정보에는 대출책수 등 새로 나온 책 등을 소개하는 메뉴가 있습니다.
협약 도서관 인증
어플을 사용하는 초기에는 도서관 인증을 거쳐야 합니다. 참, 리브로피아 어플을 사용할 것을 협약한 도서관만 앱 사용이 가능합니다. 협약 도서관이 아닌 경우는 도서관 이름을 나오지만 이 어플 사용은 되지 않습니다. 새로 도서관을 추가할 때는 검색 기능을 이용하여 찾아서 해당 도서관을 선택합니다.
협약 도서관이라는 초록색 버튼이 표시된 '광주상록도서관'은 리브로피아 어플이 적용되는 도서관입니다. 추가는 됐지만 인증을 거치지 않았기 때문에 오른쪽에 파란색 체크 표시와 인증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인증은 도서관에 방문해서 직접 인증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광주광역시 시립도서관의 희망도서바로대출 서비스
광주광역시립도서관은 매우 좋은 제도가 있습니다. '희망도서바로대출' 서비스가 그것입니다. 사용자가 원하는 책을 선택하여 신청하면 서점을 통해 대출을 받을 수 있는 제도가 '희망도서바로대출 서비스'입니다. 서점을 통해 희망도서를 신청받음으로써 이중으로 도움이 되는 제도로서 사용자는 원하는 책을 빨리 대출받을 수 있어 좋고, 서점은 도서를 도서관에 납품할 수 있어 좋은 제도입니다.
2023년은 2월부터 서비스가 시작된다는 알림 메시지가 떴군요. 예산 범위 내에서 운영되는 이 제도는 도서 구입을 통해 사용자와 서점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제도가 되겠습니다. 희망도서를 도서관에 신청해서 대출받기까지는 많은 시일이 걸리거든요.
광주광역시립도서관의 희망도서바로대출서비스는 많이 확대되면 좋겠다는 생각입니다. 사용자가 신청하면 시립도서관의 관련 부서에서 구입 여부를 판단합니다. 도서관에 준비된 도서가 많거나 오래된 도서 또는 수험서 등은 희망도서에서 배제합니다. 구입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바로 허락이 떨어지고 서점은 구입해서 준비를 하면 사용자는 서점에서 바로 대출을 받고 대출 기한이 끝나면 서점으로 반납합니다.
정리
도서관 회원증이 스마트폰에 들어옴으로 해서 불편한 카드 소지를 안 해도 되는 점이 우선 좋은 점입니다. 게다가 각종 도서관과 관련된 서비스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광주광역시립도서관의 경우는 '희망도서바로대출'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도서를 신속하게 대출받을 수 있는 좋은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스마트폰 교육 > 스마트폰 활용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드로이드 폰에서 Smart View (15) | 2023.01.07 |
---|---|
포토퍼니아로 달력 만들기 (4) | 2023.01.05 |
스마트폰 설정, 연결에서 비행기 탑승 모드 (2) | 2023.01.03 |
모바일 데이터 경고 설정 (2) | 2023.01.02 |
갤러리앱 으로 사진 효과 주기 (0) | 2022.12.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