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 10 로그인
윈도에서 로그인하는 방법을 크게 나누면 두 가지가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으로 로그인하는 방법과 로컬 계정으로 로그인하는 방법 두 가지가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으로 로그인하는 것도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보안을 위해 취한 조치이나 개인만이 사용하는 노트북의 경우는 귀찮은 일입니다.
쉽게 로그인하는 방법이 '로컬 계정으로 로그인'입니다. 로컬계정으로 로그인을 하는 경우도 암호를 지정할 수 있지만 암호를 지정하지 않고 설정을 확인하면 다음부터는 암호를 요구하지 않고 자동 로그인이 됩니다.
자동로그인 설정
설정에서 '계정' 항목을 선택합니다.
사용자 정보가 나옵니다. 자신의 마이크로소프트 계정과 프로필 아래에 '대신 로컬 계정으로 로그인' 항목이 있습니다. 이것을 선택하면 로컬 계정으로 전환이 가능합니다.
로컬 계정으로 전환
로컬 계정이란 마이크로소프트 계정과 관련 없이 자신의 컴퓨터에 등록된 계정을 의미합니다.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으로 로그인을 해야 동기화가 이루어져 여러 서비스가 원할하게 되는데, 그런 것을 포기하겠냐는 물음입니다.
본인 인증을 거칩니다. 이것은 시스템을 함부로 수정할 수 없기에 당연한 절차입니다. 로그인 방법을 전환하려는 사람의 아이디를 확인하는 겁니다. 그동안 사용했던 자신의 핀 번호를 입력합니다.
로컬 계정 정보 입력을 요구합니다. 자신의 이름을 등록하면 좋습니다. 그간에는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의 앞 몇글자를 사용자 이름으로 사용했다면 로컬 계정을 이용할 때는 자신의 본명을 제대로 입력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때 '새 암호'나 '비밀번호 확인'에 아무 것도 입력하지 않고 다음으로 진행하면 암호 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모든 과정을 마치면 로그아웃 후에 다시 로그인을 합니다. 이때 적용되는 로그인 방식이 '로컬 계정으로 로그인'이 되겠습니다.
시작에서 계정 설정 변경
간단하게 계정 설정을 변경할 수도 있습니다. 시작 화면에서 윈도 버튼을 클릭하여 올라온 사용자 이름에서 '계정 설정 변경'을 선택합니다. 이후 방법은 동일합니다.
여러 사람이 사용하는 환경에서 '로컬 계정으로 로그인'은 좋지 않습니다. 자신만이 사용하는 노트북이나 도서관 등의 공공 컴퓨터(날마다 시스템을 리셋시키는 컴퓨터)에서는 자동로그인이 편합니다.
'컴퓨터 활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번역기 비교 (4) | 2023.05.06 |
---|---|
[DALL-E] 달리로 제작된 그림은 어떻게 보나요? (8) | 2023.05.05 |
'사전'의 표준,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4) | 2023.03.18 |
[Sigil] 다운로드, 설치 및 환경 설정 (4) | 2023.03.14 |
[전자책] 전자책에서 사용되는 DRM이 궁금합니다. (4) | 2023.03.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