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셧다운
컴퓨터를 일정 시간 사용하고 자동으로 종료하는 명령이 있습니다. 공용 컴퓨터로 일을 하는 경우에 이 명령을 필요로 할 때가 있습니다.
파워셸 여는 방법
'윈도10'('윈도11'에서는 터미널)에서 PowerShell을 여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다음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하여 실행해 보세요.
시작 메뉴를 사용하는 방법
시작 버튼을 클릭하거나 키보드의 Windows 키를 누릅니다.
'PowerShell'이라고 입력하고 검색 결과에서 'Windows PowerShell'을 찾아 클릭하세요. 또는 시작 버튼 마우스 우클릭으로 PowerShell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실행 명령을 사용하는 방법
키보드에서 Win + R 조합키를 눌러 '실행' 대화상자를 여세요.
'powershell'이라고 입력한 후 확인을 클릭하거나 엔터키를 누르세요.
작업 표시줄 검색을 사용하는 방법
작업 표시줄의 검색 상자에 'PowerShell'이라고 입력하세요.
검색 결과에서 'Windows PowerShell'을 클릭하세요.
파일 탐색기에서 실행하는 방법
파일 탐색기를 열고 주소창에 C:\Windows\System32\WindowsPowerShell\v1.0을 입력한 후 Enter 키를 누릅니다.
파일 목록에서 'powershell.exe'를 더블 클릭하거나, 선택한 후 Enter 키를 누릅니다.
관리자 권한으로 PowerShell을 열려면, 검색 결과에서 'Windows PowerShell'을 찾은 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고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을 선택하세요. '관리자 권한'의 파워셸은 조심할 필요가 있습니다. 시스템에 위해를 줄 수도 있습니다.
shutdown 옵션
'shutdown' 명령은 시스템 종료, 재부팅, 로그오프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데 사용됩니다. 다음은 일부 기본 옵션입니다:
shutdown /s : 컴퓨터를 종료합니다.
shutdown /r : 컴퓨터를 재부팅합니다.
shutdown /l : 사용자를 로그오프 합니다.
shutdown /a : 예약된 종료를 취소합니다.
윈도에서 'shutdown' 명령의 현재 상황을 확인하는 옵션은 없습니다.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나 시스템 리소스 사용 상황을 확인하려면 '작업 관리자'나 '리소스 모니터'와 같은 다른 도구를 사용해야 합니다. 작업 관리자는 Ctrl + Shift + Esc 키를 눌러 실행할 수 있으며, 리소스 모니터는 작업 관리자의 '성능' 탭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타임을 지정하는 't' 옵션은 동시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0,000초 후에 shutdown 시키기 위한 명령어는 'shutdown /s /t 10000'으로 가능합니다. 명령이 먹히면서 종료 시각을 알리는 알림 창이 우하단에 나타났다가 사라집니다.
윈도11에서 터미널
윈도11에서는 '터미널'로 변경됐습니다. 이를 통해 PowerShell, Command Prompt, Windows Subsystem for Linnux(WSL) 등을 한 곳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게 됐습니다.
시작 방법은 윈도10과 동일합니다. 시작 메뉴를 통한 연결에서 가장 쉬운 방법은 마우스 우클릭오로 위와같은 팝업 상태에서 '터미널'을 선택하는 것입니다.
터미널에서 PowerShell, Command Prompt 또는 WSL을 사용하려면, 애플리케이션 창의 상단 탭에서 '+' 버튼을 눌러 새 탭을 엽니다. 또는 아래와 같이 '아래 화살표'를 선택하여 사용 터미널 환경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터미널 환경을 설정하면 그 환경으로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합니다.
셧다운 예고
셧다운 되기 10분 전에 예고 알림이 다시 뜹니다. 셧다운 되기 전, 경고성 알림입니다. 이때, 셧다운을 철회하려면 'shutdown/a'로 취소시킵니다.
'컴퓨터 활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브라우저] 크롬과 구글어스 (10) | 2023.05.16 |
---|---|
[브라우저] 크롬과 엣지 (6) | 2023.05.15 |
[Bard] 구글 인공지능, 한국어 지원 시작 (2) | 2023.05.12 |
인공지능계의 도전과 응전 (6) | 2023.05.11 |
[Bing] 마이크로소프트 Bing에서 이미지 생성하기 (8) | 2023.05.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