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Bard에서 생성된 글
Bard에서 생성된 글을 활용하는 방법에서 첫 번째는 구글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구글 문서나 지메일로 보내서 2차 작업을 진행합니다. 특히 '구글 문서'로 내보내서 작업하는 것은 매우 편리합니다.
이 경우는 좋아요 표시 아이콘 바로 옆 '위로 향한 화살표'를 통해 가능합니다. 이 경우는 '구글 문서'로 보내고 바로 구글 문서에서 편집을 하면 됩니다.
'Docs 열기'를 클릭하면 '구글 문서'에서 생성된 문서가 다음과 같이 열립니다. 여기부터는 보통 문서를 다루듯이 다루면 됩니다. 구글 인공지능 '바드'를 사용했다는 것은 구글에 로그인이 되어 있음을 의미하기 때문에 여기까지 진행이 수월하게 진행될 것입니다.
복사하여 사용
해당 글을 복사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평소 문서 작성에서 많이 사용하던 방식과 동일합니다. 평소처럼 블록을 씌어 복사할 때는 반드시 '단축키'를 사용해야 합니다.
생성된 우하단에 '삼 점 더보기' 아이콘을 선택하면 복사 아이콘이 있습니다. 이 아이콘을 선택하면 현재 생성된 내용을 모두 복사합니다. 자신이 사용할 내용만 블록을 씌어 복사하려면 위에서 언급했듯이 '컨트롤 + V' 단축키를 이용해야 합니다.
제가 권할 수 있는 방법은 '단축키 이용'입니다.
반응형
'컴퓨터 활용 > 노년에 즐기는 코딩'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Windows에서 git bash를 활용하여 버전 관리 (100) | 2024.01.13 |
---|---|
[그림 그리기] Easy Diffusion 사용 사례 (4) | 2023.08.22 |
[ChatGPT] ChatGPT로 작성한 과제 여부 찾아내기 (6) | 2023.05.09 |
[Sigil] 효과적인 편집을 위한 팁, EditPad Lite 활용 (6) | 2023.04.17 |
[ChatGPT] GPT-4 업그레이드 과정과 GPT-3.5와의 차이 (22) | 2023.04.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