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QGIS/QGIS 교육(2024)73

[QGIS] '지리 정보 처리 도구' 중 하나인 '잘라내기' 기능 '지리 정보 처리 도구' 중 하나인 '잘라내기' 기능QGIS의 '지리 정보 처리 도구' 중 하나인 '잘라내기' 기능은 벡터 레이어의 특정 부분을 다른 벡터 레이어를 기준으로 잘라내는 데 사용됩니다. 이 도구는 겹치는 부분만 남기고 나머지 부분을 제거하는 작업을 수행합니다. 주로 관심 영역(Area of Interest, AOI) 내의 데이터만을 분석하거나, 특정 지형 정보를 추출하는 데 유용합니다.'잘라내기' 도구 사용 방법레이어 준비:잘라낼 레이어(입력 레이어)와 기준 레이어(마스크 레이어)를 준비합니다.예를 들어, 시군구 경계 레이어를 기준으로, 특정 시군구 내의 도로 데이터를 잘라낼 수 있습니다.도구 실행:QGIS 메뉴에서 벡터 → 지리 정보 처리 도구 → 벡터 지리 정보 처리 도구 → 잘라내기를 .. 2024. 7. 1.
[QGIS] 프로젝트 저장 방식의 두 유형, qgz 형식과 qgs 형식 프로젝트 저장 방식의 두 유형, qgz 형식과 qgs 형식QGIS에서 프로젝트 파일 형식인 .qgz와 .qgs는 각각의 파일 포맷을 나타내며, 두 가지는 다음과 같은 차이점을 가지고 있습니다..qgz 파일형식: 압축 파일 (ZIP 형식)구성: 프로젝트 파일(.qgs)을 포함한 여러 부가 파일들이 하나의 압축 파일로 저장됩니다.장점: 모든 프로젝트 관련 파일을 하나의 압축 파일로 관리할 수 있어 이동 및 백업에 용이합니다.사용 이유: QGIS 3.0 이상 버전에서 기본 프로젝트 파일 형식으로 사용됩니다. 여러 파일을 하나의 압축 파일로 관리하므로 파일 관리가 편리합니다..qgs 파일형식: XML 형식의 텍스트 파일구성: 프로젝트 설정, 레이어, 스타일 등의 정보를 XML 형식으로 저장합니다.장점: 파일이 .. 2024. 6. 29.
[QGIS] 레이어 저장과 프로젝트 저장 레이어 저장과 프로젝트 저장QGIS에서 프로젝트와 프로젝트에 사용되는 여러 객체의 저장 관계를 아는 것은 중요합니다. 저장하지 않고 무시할 수 있는 경우와 저장이 필요한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임시 레이어는 저장이 필요 없지만, 나중에 그 레이어를 재사용해야 하는 경우 저장을 해야 합니다. 위는 특정 레이어 변경 사항에 대한 저장을 묻는 대화창입니다. '무시'를 선택하면 레이어의 변경 사항이 저장되지 않고 통과되어 작업한 내용을 잃게 됩니다. 프로젝트 파일을 저장하면 전체 작업 과정이 체계적으로 관리되어 추후 작업 진행이 편리해집니다. 프로젝트로 저장해도 저장되지 않은 레이어를 상실됩니다. 그러므로 중요 레이어의 변경사항은 저장되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2024. 6. 28.
[QGIS] 거리 산출 척도에서 1도는? 거리 산출 척도에서 1도는?거리 산출 척도에서 1도는 경도(latitude)와 위도(longitude)에 따라 달라집니다. 위도의 경우, 지구의 표면이 구형에 가까우므로 위도 1도는 항상 일정한 거리를 가지며 약 111 km입니다. 경도의 경우, 적도에서는 1도가 약 111 km이지만, 극지방으로 갈수록 거리가 줄어듭니다. 예를 들어, 위도가 60도일 때 경도 1도는 약 55.8 km입니다.일반화 공식이를 일반화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dlongitude는 경도 1도의 거리이고, (latitude)는 해당 지점의 위도입니다.이 공식을 사용하면 특정 위도에서 경도 1도가 몇 km인지 계산할 수 있습니다. 2024. 6. 27.
[QGIS] 지리정보처리도구에서 버퍼(buffer) 지리정보처리도구에서 버퍼(buffer)지리정보처리도구에서 버퍼(buffer)는 특정 지리적 객체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있는 영역을 생성하는 중요한 공간 분석 기능입니다. 버퍼 분석을 통해 공간적으로 정의된 범위 내의 지리적 현상이나 객체 간의 관계를 이해하고 분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분석은 도시 계획, 환경 관리, 교통 시스템 설계, 재난 대응 계획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위 지도는 광주광역시 아시아문화전당(구도청)을 중심으로 1km를 버퍼로 설정한 결과 화면입니다. 버퍼 설정 공간 내에 동구청과 동명동행정복지센터 등이 포함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 버퍼는 문화전당 한가운데 점을 기준으로 했기 때문에 문화전당 영역을 기준으로 버퍼 설정을 하면 더 넓은 지역이 포함될 것입니다.버퍼의 .. 2024. 6. 26.
[QGIS] 지리정보처리도구 중 버퍼 사용 지리정보처리도구 중 버퍼 사용지리정보시스템(GIS)에서 버퍼(Buffer) 도구는 특정 객체(포인트, 라인, 폴리곤)의 주변 일정 거리 내의 영역을 생성하는 데 사용됩니다. 버퍼는 다양한 분석에서 매우 유용하며, 특히 근접성 분석에 자주 사용됩니다. QGIS와 같은 GIS 소프트웨어에서 버퍼 도구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버퍼의 개념버퍼는 입력된 지리 객체 주위에 일정한 거리만큼의 영역을 생성하는 공간 분석 도구입니다. 예를 들어, 특정 지점 주변 1km 이내의 영역을 분석할 때 버퍼를 사용합니다.QGIS에서 버퍼 생성 방법다음은 QGIS를 사용하여 버퍼를 생성하는 단계별 방법입니다.QGIS 실행:QGIS 프로그램을 실행합니다.레이어 불러오기:버퍼를 생성할 레이어를 QGIS에 불러옵니다. 예를 들.. 2024. 6. 23.
GIS(지리정보시스템)의 좌표체계 GIS(지리정보시스템)의 좌표체계GIS(지리정보시스템)의 좌표체계는 공간 데이터를 정확하게 위치시키고 분석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GIS에서 사용되는 좌표체계는 일반적으로 지구의 곡률을 고려하여 데이터를 2차원 평면에 표현합니다. 좌표체계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지리좌표체계(Geographic Coordinate System)와 투영좌표체계(Projected Coordinate System).지리좌표체계 (Geographic Coordinate System, GCS)정의: 지리좌표체계는 지구 표면의 위치를 위도(latitude)와 경도(longitude)로 나타냅니다. 이는 지구를 타원체로 모델링하여 위치를 정의합니다.위도와 경도:위도: 적도(Equator)를 기준으로 북쪽 또는.. 2024. 6. 22.
[QGIS] GPKG 파일, 지리 공간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오픈 표준 파일 형식 GPKG 파일GeoPackage(GPKG) 파일은 지리 공간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오픈 표준 파일 형식입니다. GeoPackage는 OGC(Open Geospatial Consortium)에서 제정한 표준으로, 공간 데이터와 속성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교환할 수 있는 포맷을 제공합니다. GeoPackage 파일의 주요 특징 1. 오픈 표준: - GeoPackage는 OGC(Open Geospatial Consortium)에서 관리하는 개방형 표준입니다. 따라서 누구나 사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GIS 소프트웨어에서 호환됩니다. 2. 단일 파일: - GeoPackage는 모든 데이터를 단일 `.gpkg` 파일에 저장합니다. 이는 여러 파일로 나뉘는 다른 형식(예: Shapefile)과 달리 파일 .. 2024. 6. 20.
[QGIS] QGIS 등고선지도 만들기 QGIS 등고선지도 만들기등고선지도는 지형의 높낮이를 나타내는 선으로 이루어진 지도로, QGIS에서 쉽게 생성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QGIS에서 등고선지도를 만드는 단계입니다.DEM(디지털 고도 모델) 데이터 가져오기:먼저, QGIS를 열고 DEM 데이터를 불러옵니다. DEM 데이터는 지형의 고도를 나타내는 래스터 데이터입니다.레이어 > 레이어 추가 > 래스터 레이어 추가를 클릭한 후, DEM 파일을 선택하여 불러옵니다. 등고선 생성:DEM 데이터를 불러온 후, 래스터 > 추출 > 등고선을 클릭합니다.등고선 생성 창이 열리면, 입력 래스터 레이어로 불러온 DEM 레이어를 선택합니다.출력 폴리라인을 저장할 파일 경로를 지정합니다. 일반적으로 Shapefile 형식으로 저장됩니다.간격(높이 차이)을 설정합.. 2024. 6.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