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리브너13 [스크리브너] 저장 및 백업 환경 설정하기 저장 및 백업 환경 설정하기 스크리브너는 자동 저장 주기를 매우 짧게 설정해 놓고 있습니다. 기본 옵션에는 '2초'로 설정되어 있어 글을 쓰다 저장을 하지 못해 글을 잃는 경우는 거의 없게 환경 관리를 구축했습니다. 이렇게 짧은 저장 주기를 두는 이유는 원고 보호에 있습니다. 텍스트만 있을 때는 문제가 안되지만 이미지나 동영상 파일이 첨부된 경우는 '2초'는 지나치게 짧습니다. 자동 저장과 최근 프로젝트 수 변경 기본 옵션과 달리 저장 주기를 바꾸려면 '이후 자동 저장' 수치를 변경하면 됩니다. 가능한 시간은 최대 '300초'까지 가능합니다. 아울러 프로젝트 수도 '40 프로젝트'까지 가능합니다. '최근 프로젝트 수' 설정은 스크리브너에서 사용자가 최근에 작업한 프로젝트들의 목록을 얼마나 많이 보관할지를.. 2024. 4. 18. [스크리브너] 외부 파일 불러오기 외부 파일 불러오기 스크리브너로 기존의 텍스트 파일을 가져오는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이미지에 나타난 파일 탐색기에서 스크리브너 프로젝트로 불러오려는 텍스트 파일들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 파일들을 스크리브너로 불러오기 위해 아래의 절차를 따르시면 됩니다. 스크리브너 프로젝트 열기: 스크리브너를 실행하고 불러오고 싶은 파일을 추가할 프로젝트를 엽니다. '파일' 메뉴 이동: 상단 메뉴 바에서 '파일(File)'을 클릭합니다. '불러오기(Import)' 선택: 드롭다운 메뉴에서 '불러오기' 또는 'Import'를 선택합니다. '파일' 또는 'Files' 선택: '불러오기' 메뉴에서 '파일' 또는 'Files' 옵션을 선택합니다. 불러올 파일 찾기: 파일 탐색기가 열리면, 불러오고 싶은 텍스트 .. 2024. 4. 17. 스크리브너(Scrivener) 사용 환경 설정 스크리브너(Scrivener) 사용 환경 설정 스크리브너는 사용자가 글쓰기 환경을 자신의 취향과 작업 스타일에 맞춰 설정할 수 있게 해 줍니다. 사용 환경 설정을 통해 글쓰기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거나, 자신이 선호하는 방식으로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는 스크리브너의 주요 환경 설정 옵션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파일 메뉴에서 'options'를 선택하면 설정 대화창이 열립니다. 주요 설정 설정은 위에 범주별로 아이콘이 배치되어 있고, 이것을 선택하면 좌변에 구체적인 세부 메뉴가 나옵니다. 메뉴를 한글화 하려면 'General'에서 'Language'를 선택하여 '한국어'를 선택합니다. 일반 설정(Preferences/Options): '도구' 메뉴(Windows의 경우) 또는 '.. 2024. 4. 16. [스크리브너] 스크리브너 바인더의 기본 스크리브너 바인더의 기본, Draft 바인더는 문서를 구성하고 관리하는 주요한 영역으로, 프로젝트 내의 모든 텍스트 문서, 폴더, 연구 자료들을 나타냅니다. 여기에는 'Draft', 'Research', 'Trash' 세 가지 주요 섹션이 보입니다. Draft 폴더 'Draft' 폴더는 작성 중인 원고의 모든 문서를 포함합니다. 이곳에는 새로운 텍스트 파일을 만들거나, 장과 장면 등의 글을 구조화하여 저장합니다. 구조는 계층적으로 이루어지며 하위 구조는 상위 구조에 포함됩니다. 바인더에는 그 계층의 구조가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배치됩니다. Research 섹션 'Research' 섹션은 글쓰기에 필요한 연구 자료들을 저장하는 곳으로, 이미지, PDF 파일, 웹 페이지 등 다양한 형식의 파일을 담을 수.. 2024. 4. 14.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