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컴퓨터 활용/노년에 즐기는 코딩

Git 태그(Tag) 처리 완전 정리

by easyfly 2025. 9. 12.
반응형

 

Git 태그(Tag) 처리 완전 정리

버전 관리를 하다 보면 “여기가 중요한 시점이다!” 하고 표시해 두고 싶은 순간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첫 번째 배포 버전이라든가, 큰 구조 변경 전이라든가, 실험이 끝난 시점 같은 곳이지요.
Git에서는 이런 지점을 태그(tag)라는 기능으로 기록할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 작업 중에 깃 태그 처리


1. 태그란 무엇인가?

  • Git 태그는 특정 커밋에 별명을 붙여주는 기능입니다.
  • 보통 버전 이름(v1.0, release-2025-09-09)이나 체크포인트(checkpoint-20250909-1430)로 사용합니다.
  • 태그는 이후 되돌아가거나 비교할 때 매우 유용합니다.

2. 태그 만들기

(1) 현재 커밋에 태그 붙이기

git tag v1.0

→ 지금 HEAD가 가리키는 커밋에 v1.0이라는 태그가 붙습니다.

(2) 메시지를 포함한 태그(권장)

git tag -a v1.0 -m "첫 번째 배포 버전"

→ 설명까지 함께 기록할 수 있어 추후에 매우 편리합니다.

(3) 과거 커밋에 태그 달기

git log --oneline
git tag v0.9 abc1234

→ 커밋 ID(abc1234)를 지정하면 그 시점에도 태그를 붙일 수 있습니다.


3. 태그 확인하기

git tag

→ 저장소의 태그 목록이 출력됩니다.

git show v1.0

→ v1.0 태그가 가리키는 커밋과 메시지, 변경 내역을 볼 수 있습니다.


4. 태그를 원격(GitHub)에 올리기

(1) 특정 태그만 푸시

git push origin v1.0

(2) 태그 전체를 푸시

git push origin --tags

주의: 태그는 자동으로 올라가지 않습니다. 꼭 git push origin --tags를 해주어야 합니다.


5. 태그로 되돌아가기

(1) 임시로 이동하기

git checkout v1.0

→ 해당 시점의 코드 상태로 이동합니다. 단, 이 상태는 detached HEAD라고 불리며, 직접 수정을 이어가기는 어렵습니다.

(2) 브랜치로 이어서 작업하기

git checkout -b hotfix-v1.0 v1.0

→ 태그 시점을 기준으로 새 브랜치를 만들어 작업을 이어갑니다.


6. 태그 삭제하기

  • 로컬에서 삭제
git tag -d v1.0
  • 원격에서 삭제
git push origin :refs/tags/v1.0

7. 태그 활용 팁

  • 배포 버전마다 태그를 붙여 두면, 나중에 어떤 코드가 실제 서비스에 올라갔는지 명확히 알 수 있습니다.
  • 학습용 프로젝트에서는 checkpoint라는 이름으로 태그를 남겨 두면, 실험하다 잘못되었을 때 쉽게 돌아갈 수 있습니다.
  • 태그는 가볍고 빠른 북마크 같은 개념입니다. 부담 없이 자주 쓰면 큰 도움이 됩니다.

마무리

Git 태그는 단순하지만 강력한 도구입니다.
브랜치가 “진행 중인 작업”을 위한 것이라면, 태그는 “특별히 기억하고 싶은 순간”을 위한 것입니다.
앞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중요한 시점마다 태그를 남겨 보세요. 나중에 스스로에게 큰 선물이 될 것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