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Amazon Web Services(AWS)와 Google Cloud Platform(GCP)
AWS와 구글(Google Cloud)은 모두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두 회사의 핵심 목표는 같지만, 구조·서비스 구성·요금 체계·활용 방식에는 분명한 차이가 있습니다.
아래에서는 Amazon Web Services(AWS)와 Google Cloud Platform(GCP)의 대표 스토리지 방식을 항목별로 비교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
1. 기본 개념 비교
| 구분 | AWS | Google Cloud |
| 대표 서비스 | Amazon S3 (객체 스토리지) | Google Cloud Storage (GCS) |
| 추가 서비스 | EBS(블록), EFS(파일), Glacier(아카이브) | Persistent Disk(블록), Filestore(파일), Archive Storage |
| 구조적 특징 | 서비스별로 역할이 명확하게 구분됨 | 서비스 통합도가 높고 GCS가 대부분의 저장을 담당함 |
| 공통점 | 안정성(11 9’s), 확장성, 내결함성 제공 | 안정성(11 9’s), 확장성, 글로벌 네트워크 기반 제공 |
2. 저장 방식(스토리지 유형) 비교
| 유형 | AWS | Google Cloud | 설명 |
| 블록 스토리지 | EBS (Elastic Block Store) | Persistent Disk (PD) | VM(가상머신)에 직접 연결하는 저장소. 운영체제, DB, 앱 구동용. |
| 파일 스토리지 | EFS (Elastic File System) | Filestore | 여러 VM이 동시에 접근 가능한 공유 파일시스템. NFS 기반. |
| 객체 스토리지 | S3 (Simple Storage Service) | GCS (Google Cloud Storage) | 이미지, 영상, 로그, 백업 등 대용량 비정형 데이터 저장. |
| 아카이브 스토리지 | S3 Glacier / Deep Archive | Archive Storage | 장기 보관용 저비용 스토리지. 복원 시 지연 발생. |
3. 계층 및 요금 체계 비교
| 구분 | AWS S3 | Google Cloud Storage |
| 표준 등급 | S3 Standard | Standard Storage |
| 저빈도 등급 | S3 Standard-IA (Infrequent Access) | Nearline Storage |
| 장기보관 등급 | S3 Glacier / Deep Archive | Coldline / Archive Storage |
| 비용 체계 | 저장비는 저렴하지만 복원, 요청, 전송 시 추가요금 | 등급별 단가 차등. 접근 빈도 낮을수록 저렴 |
| 자동 전환 | Lifecycle Policy로 등급 전환 자동화 | Object Lifecycle Management로 자동화 가능 |
| 무료 할당량 | 12개월 동안 5GB S3 Free Tier | 5GB GCS Free Tier (지속적 무료) |
📌 차이점 핵심
- AWS는 “서비스 분리형” 구조로, 용도에 따라 명확히 나눠 사용합니다.
- 구글은 “서비스 통합형” 구조로, 대부분의 데이터는 GCS 하나에서 등급만 변경하며 관리합니다.
4. 데이터 저장 위치 및 접근 구조
| 항목 | AWS | Google Cloud |
| 리전(Region) | 30개 이상, 세부적으로 가용영역(AZ) 존재 | 35개 이상, 리전 간 네트워크 전송비 저렴 |
| 복제 방식 | 리전 내 3중 복제, Cross-Region Replication 선택 가능 | 리전 간 자동 복제 옵션 다수 (Multi-Region, Dual-Region 등) |
| 전송 가속 | S3 Transfer Acceleration | Cloud CDN + Signed URL |
| API 호환성 | S3는 사실상 객체 스토리지의 산업 표준 | GCS는 S3 API 일부 호환(점차 호환성 강화 중) |
5. 보안 및 관리
| 항목 | AWS | Google Cloud |
| 암호화 | 서버 측 기본 암호화(AES-256), KMS 키 관리 | 기본 암호화 + Cloud KMS 통합 |
| 접근 제어 | IAM 정책 + S3 Bucket Policy | IAM + Cloud Identity + Bucket-level ACL |
| 감사 로그 | AWS CloudTrail | Cloud Audit Logs |
| 버전 관리 | S3 Versioning | Object Versioning |
| 데이터 무결성 | ETag 및 MD5 체크 | CRC32C 및 MD5 체크 |
📌 AWS는 IAM + Bucket Policy로 세밀한 권한 제어가 강점이며,
GCP는 IAM 단일 통합체계로 단순하지만 기업 단위 통제에 유리합니다.
6. 사용 예
| 목적 | AWS 사용 예 | Google Cloud 사용 예 |
| 웹 백업/정적 웹사이트 | S3 + CloudFront | GCS + Cloud CDN |
| 데이터 분석 | S3 + Athena, Redshift | GCS + BigQuery |
|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 | S3 + SageMaker | GCS + Vertex AI |
| 장기 보관 | Glacier Deep Archive | GCS Archive Storage |
7. 요약 비교표
| 항목 | AWS | Google Cloud |
| 대표 서비스명 | S3 (EBS/EFS/Glacier로 분리) | GCS (Persistent Disk, Filestore 보조) |
| 요금 단순성 | 상대적으로 복잡 (서비스별 다름) | 간단 (단일 서비스 내 등급 변경) |
| 복원 속도 | Glacier 복원은 수시간~12시간 | Archive Storage 복원은 수분~수시간 |
| 기업 활용성 | 엔터프라이즈 중심, 세밀한 제어 | 데이터 분석·AI 통합에 강점 |
| 표준성 | S3 API는 업계 표준 | S3 API 점차 호환 중 |
| 강점 | 안정성, 세밀한 관리, 글로벌 서비스 | 단순한 관리, GCP 생태계 연동, 빠른 분석 |
🔶 결론
- AWS는 “용도별로 분리된 전문 스토리지 서비스 구조”로, 세밀한 제어와 안정성이 강점입니다.
(예: EC2용 EBS, 파일공유용 EFS, 장기보관용 Glacier) - Google Cloud는 “하나의 통합 스토리지(GCS)” 중심으로, 데이터 분석과 AI 워크플로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예: BigQuery, Vertex AI와 자연스러운 연동)
👉 정리하면:
- AWS = 세밀한 관리와 안정성 중심의 기업형 구조
- Google Cloud = 단순성과 데이터 분석 중심의 통합형 구조
반응형
'컴퓨터 활용 > 노년에 즐기는 코딩' 카테고리의 다른 글
| MySQL Workbench, GUI 환경의 데이터베이스 관리 (1) | 2025.10.25 |
|---|---|
| 데이터 수신은 무료이지만, 데이터 송신은 유료 (0) | 2025.10.24 |
| Docker 이미지 이해하기 ― 불변 인프라의 핵심 개념 (1) | 2025.10.22 |
| 테이블 구조 변경 명령문 (0) | 2025.10.21 |
| [SQL 연습] 같은 주소에 살지만 학년이 다른 학생 두 명 비교 (1) | 2025.10.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