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컴퓨터 활용/노년에 즐기는 코딩

데이터 수신은 무료이지만, 데이터 송신은 유료

by easyfly 2025. 10. 24.
반응형

데이터 수신은 무료이지만, 데이터 송신은 유료


데이터 수신은 무료이지만, 데이터 송신은 유료”라는 말은
클라우드(예: AWS, Google Cloud)에서 데이터가 오고 가는 방향에 따라 요금이 다르게 부과된다는 뜻입니다.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풀어 설명드리겠습니다.


🔹 1. 데이터 송·수신의 방향 개념

클라우드 서버(AWS, GCP 등)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다음 두 가지 방향이 있습니다.

구분 설명 요금 여부
수신(Inbound / Upload) 사용자가 자신의 컴퓨터 → 클라우드로 데이터를 올리는 것 (예: 파일 업로드, DB 적재 등) 무료
송신(Outbound / Download) 클라우드 → 외부로 데이터를 내보내는 것 (예: 파일 다운로드, 웹사이트 방문자에게 이미지 전송 등) 유료

즉, “들어오는 데이터는 무료”, “나가는 데이터는 유료”라는 구조입니다.


🔹 2. 왜 송신(Outbound)만 유료일까?

이는 클라우드 제공자의 네트워크 비용 구조 때문입니다.

  • AWS나 Google Cloud는 데이터가 외부 인터넷으로 나갈 때,
    인터넷 회선 사용료(트래픽 비용)를 실제로 부담해야 합니다.
  • 반면, 사용자가 데이터를 클라우드로 업로드할 때는
    상대적으로 비용 부담이 적고, 대부분 내부망을 통해 수신되므로 무료로 제공합니다.

이 정책은 대부분의 클라우드 사업자(AWS, GCP, Azure, Naver Cloud 등)에서 동일합니다.


🔹 3. 예를 들어보면

상황 데이터 흐름 요금
사용자가 S3 버킷에 사진 업로드 내 PC → AWS 서버 무료
블로그 방문자가 AWS에 저장된 이미지를 다운로드 AWS 서버 → 외부 방문자 유료 (Outbound 요금 발생)
AWS EC2 ↔ S3 간 같은 리전 내부 통신 AWS 내부망 대부분 무료 또는 매우 저렴
AWS 서울 ↔ 도쿄 리전 간 데이터 전송 리전 간 송신 트래픽 유료 (GB당 요금 부과)

🔹 4. 요금 부과 방식

송신 요금은 보통 다음처럼 계산됩니다.

데이터 송신 요금 = 송신한 데이터 용량(GB) × 단가(USD/GB)

예시:

  • 서울 리전에서 외부 인터넷으로 100 GB 전송
    → 단가 US $0.108 / GB
    → 총비용 ≈ US $10.8 (약 15,000원)

🔹 5. 요약

구분 개념 요금
Inbound (수신) 클라우드로 데이터 업로드 무료
Outbound (송신) 클라우드에서 외부로 다운로드 유료
이유 외부망 전송에는 실제 통신망 비용 발생 따라서 송신만 과금
절약 방법 CDN 활용, 같은 리전 내 통신 사용, 압축 전송 등  

💡 정리하자면

“데이터 수신은 무료, 송신은 유료”란
클라우드 안으로 들어오는 데이터는 공짜지만, 밖으로 나가는 데이터는 돈이 든다는 뜻입니다.

 

이 원리를 이해하면,
웹서비스나 앱 설계 시 데이터 전송량(Outbound 트래픽)을 줄이는 것이
비용 절감의 핵심임을 알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